교리공부 제13 과/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 2004-05-17 10:30:26 read : 27801 내용넓게보기. 프린트하기
영원 전부터 홀로 자존하셔서 제2위 성자로, 그리스도로, 말씀으로 계셨던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율법을 범한 죄값으로, 에덴동산에서 쫓겨남을 당하고, 하나님과 관계가 끊어져, 사망 가운데 빠지고, 악령에게 종 노릇 하는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하여 죄 없는 분이시나, 인간의 몸을 입고 세상에 오신 참 하나님이시요, 참 사람이신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하여 살펴본다.
1. 중보자의 명칭(名稱)
인간을 구원키 위하여 중보자로 오셔서 구속 사역을 이룩하신 참 하나님이요. 참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이 성경에는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인자(人子), 슬픔의 사람, 영광의 주(榮光의 主), 메시야, 중보자, 주, 구속자, 선지자, 제사장, 왕} 등으로 불려지고 있다.
1) 예 수
구원자(救援者)란 뜻을 가진다. 예수님은 구원자로 오셔서 죄(罪)와, 마귀(魔鬼)와, 사망(死亡)에서 우리를 구원하여 영원(永遠)한 생명(生命)을 얻게 하셨다.(마1:21)
2) 그리스도
그리스도는 '기름부음 받은 자'란 뜻이다. 구약에 보면, 선지자(왕상19:16), 제사장(출29:7), 왕(:삼상10:1, 왕상19:16)은 성령의 상징인 기름을 부어 세웠다. 이는 그리스도께서 이 세 가지 직책을 가지시어, 하나님의 백성을 도덕적으로나 지혜.지식적으로, 능력적으로 온전케 하신다. 그는 우리의 제사장이요, 선지자요, 왕이시다.
3) 인자(人子)
참된 인성(人性)을 소유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말로서, 예수님의 고난(苦難), 죽음 등에 대하여 말씀하셨고, 예수님의 특수성(特殊性), 초 인간적 특성, 하늘나라의 영광(榮光) 가운데서 구름을 타고 장차 재림(再臨)하실 것에 대하여, 암시(暗示)해 주는 이름이다. (마16:27,28, 마26:64, 눅21:27)
4) 하나님의 아들(獨生子)
이 명칭은 예수님의 신성을 가리킨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예수님의 신성을 처음부터 깨닫지 못하고, 점차적(漸次的)으로 깨닫게 되었다.(마11:27, 마14:33, 마16:16) 예수님은 동정녀(童貞女) 탄생 전에도 제 2위 성자로 계셨다. 이는 부자(父子)의 개념이 아니고 바로 하나님이란 뜻이다.
5) 주(主)
예수님 당시의 사람들은 선생이라는 말로, 존칭으로 사용했으나 부활 후 주(主)란 명칭은 교회의 주인이며 통치자 되시는 그리스도를 의미하며(롬1:7, 엡1:17) 하나님께 대한 명칭으로도 표현되어 있다. (고전7:34, 빌4:4.5)
2. 신인 양성 일위의 중보자
1) 예수 그리스도는 신성과 인성을 가지신 신인 양성 일위의 중보자이시다. 그리스도께서는 그의 신성에 덧붙여 인성을 취하셨다. 그는 신성과 인성의 본질을 소유하시는 신인이시다. 하나님이 인간을 입고 오신 것은 위대하고, 오묘한 신비이다 (요1:14,딤전3:16 ).
2) 그리스도께서 가지신 인성은, 인간과 똑같은 성품(性品)을 가지고 계셨으나, 성령의 이적 적인 잉태로 유전적인 죄의 부패에서 방지되어 죄가 없으시고, 또 죄를 지을 수 없으시다(고후5:21, 히4:15).
3. 양성 일위의 필연성(必然性)
그리스도께서 하나님과 인간이 되셔야 했던 것은 필연적(必然的)인 것이었다.
1)인성의 필요성(必要性)
죄인을 대속(代贖) 하기 위해서는 참 인간과, 죄 없으신 인간이 되셔야만 했다(히7:26). 그래야 인간의 범죄(犯罪)에 대한 댓가(對價)를 지불(支拂) 할 수가 있다.
2)신성의 필요성
무한한(無限한) 가치(價値)의 완전한 대속의 공로(功勞)를 설정(設定)하여, 모든 택자에게 적응(適應)시켜 사죄(赦罪), 칭의(稱義), 화친(和親)의 새 생명을 입혀,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과 천국 시민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참 하나님이어야만 했던 것이다.
4. 그리스도의 두 가지 성품(性品)
성경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단 한 분의 중보자(仲保者) 예수 그리스도가 있음을 가르치고 있다(요3:16, 요4:6, 행4:4, 행16:31). 이 중보자는 보통 인간과 다른 신성과 인성의 두 가지 구별된 성품을 지니고 있으며, 이것은 인간의 이해를 초월하는 하나의 신비이나 진리임에는 틀림이 없다.
1) 그리스도의 신성(神性)
① 구약 성경의 증거(證據)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 영원한 보좌(寶座)를 가지신 하나님, 주(主), 전능한 하나님, 하늘에서 오신 인자(仁者), 언약(言約)의 사자(시2:6-7, 시110:1, 사9:6, 단7:13, 미5:2)등.
② 신약 성경의 증거
말씀, 영원한 존재자(存在者), 하나님의 어린양, 하나님의 본체(本體), 하나님의 형상(形象), 하나님의 아들(요1장, 요8:58, 골1:15, 롬1:4, 빌2:6, 딤전3:16, 고후5:19)등.
③ 예수님 자신의 증거
하나님을 아버지로 증거함 (마7:21, 마10:33, 막12:6, 눅20:13), 하나님과 동등(同等)됨을 증거함 (요3:13, 요5:17-18, 요10:32-33, 요19:7)
2) 그리스도의 인성(人性)
① 구약 성경의 증거
여자의 후손(창3:15), 아브라함의 후손(창22:18), 다윗의 후손(대하6:16)으로 탄생하신 분(사9:6-7)
② 신약 성경의 증거
족보(마1:17, 눅3:23), 신체의 성장(눅2:40), 시험, 수난, 목마른 것, 피곤, 주무시는 것, 배고픈 것, 근심 , 민망, 우신 것, 피땀, 죽으심 (마4:2, 마8:24, 마9:36, 눅22:44, 요4:6, 요15:11, 요19:23)
③ 무죄(無罪)한 인성(人性)
인간과 똑같은 성품을 가졌으나, 성령(聖靈)의 이적 적인 잉태로 유전적인 죄의 부패에서 방지되어 죄가 없으시고, 또한 죄를 지을 수 없음(요8:46, 요14:30, 고후5:21, 히4:15, 벧전2:22)
5. 그리스도의 신분(身分)
그리스도의 신분에 관한 교리는 17세기에서 많은 발전(發展)을 보았는데, 그리스도의 신분은 인성의 신분이 아니라 중보자의 인격적인 신분을 말하는 것으로 법률적인 지위(地位)와 관련되어 있다.
1) 그리스도의 낮아지심
① 우주(宇宙)의 주권적 통치자(統治者)이신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신적(神的) 위엄(威嚴)을 포기하시고 종의 형상(形象)대로 인성을 취하신 것(빌2:7-8, 요17:5)과,
② 최고(最高) 율법(律法)의 수여자(授與者)이신 그가 율법의 요구로 저주(詛呪) 아래에서 수치(羞恥)와 사망(死亡)의 자리까지 고난(苦難)을 받으신 것이다(마3:15, 갈3,13, 갈4:4).
③ 도성인신(성육신), 그리스도의 고난, 사망, 장사, 인성(人性)을 입고 부활(復活)하심 등
2) 그리스도의 높아지심
율법(律法)의 지배(支配)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완전(完全)한 사랑과, 원하신 기쁨에 참여하여 이에 합당(合當)한 존귀(尊貴)와 영광(榮光)을 누리시는 그의 영화(榮華)를 말한다.
① 부활(復活) (고전15:20, 골1:18, 계1:5)
② 승천(昇天) (요14:2-3)
③ 하나님 보좌(寶座) 우편에 앉으심 (마26:64)
6. 그리스도의 직임(職任)
{그리스도}란 기름부음이라는 뜻인데 구약 신정 국가에서 제사장.선지자.왕 을 장립(將立) 할 때 기름을 부었다. 그러므로 예수님께서는 {제사장직, 선지자직, 왕직}의 직무를 행하시도록 되어 있다.
1) 선지자 직
인간이 모르는 하나님의 뜻, 메시지의 대언자 또는 하나님으로부터 계시(啓示)를 받아서 하나님의 일을 그대로 전달(傳達)하는, 하나님과 사람의 중재자(仲裁者)로서 하나님의 뜻을 사람들에게 계시하여 교훈, 권면, 징계하며 율법을 해석해 주며, 죄를 책망(責望)하며, 아울러 미래의 영광(榮光)스러운 약속을 증거해 줌, [지혜 지식의 완전자]
2) 제사장 직
하나님께 나아가는 백성의 대표자로, 백성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피를 가지고 지성소(至聖所)에 들어가 속죄 제사(贖罪祭祀)를 드림 [도덕적, 사랑적 완전자]
3) 왕 직
① 그의 택하신 백성과,② 피흘려 세우신 교회에 대한 영적인 왕권과,③ 교회의 유익을 위해,④ 백성의 구원을 위해, ⑤ 성도의 보호를 위해 우주적 왕권(宇宙的王權)으로 만물(萬物)을 섭리하신다. (요3:3-5, 행2:30, 엡2:10, 엡1:20, 빌2:9-11, 마28:18, 시8:6, 고전15:27, 히2:8, 롬8:28) [능력의 완전자]
1.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아는 대로 말하시오.
2. 신인 양성 일위란 무엇입니까?
3. 그리스도께서 신인 양성 일위를 취하셔야 했던 이유는?1. 그리스도의 성품은?
5. 그리스도의 직임은?
6. 그리스도의 영적인 왕권은?
7. 그리스도의 우주적인 왕권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