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공부 제20과/ 성 화(聖化) 2004-05-17 10:34:32 read : 28357 내용넓게보기. 프린트하기
성화란 성령께서 죄인(罪人)들을 죄의 부패(腐敗)에서 깨끗케 하시며, 그의 전 본성(本性)을 하나님의 형상(形象)으로 갱신(更新)하여 죄인으로 하여금 선한 일을 할 수 있게 하시는 성령의 은혜로우시며 계속적인 사역이다. 중생이 영적 출생(出生)이라면 성화는 영적 성장(成長)이라고 할 수 있다(엡1:4).
성경은 구원에 관하여 이미 받은 것으로, 오늘에 이루어 가야 할 것으로, 장차 받게 될 것으로 말하고 있다.
1) 과거에 받은 것에는 선택(選擇), 대속(代贖), 중생(重生), 양자(養子)된 것들이 있다.
2) 현재(現在) 이루어야 할 것은 성화(聖化)이다.
3) 장차 받게 될 것은 몸의 부활(復活), 영화(榮化), 영원무궁(永遠無窮)한 천국 생활(天國 生活)이다.
4) 과거와 미래에 속한 것은 하나님의 단독 사역에 속한 것이나, 현재 이루어가야 할 성화는 부분적(部分的)으로 인간의 지.정.의(知情意)의 활동(活動)을 통하여 이루어 주신다. 그러므로 우리가 힘써 이루어야 할 구원은 성화이다. (빌2:12-13, 엡4:22-24, 골3:5-10)
5) 그러나 과거적, 현재적, 미래적 구원이 별개(別個)의 구원이 아닌 하나의 완전하고 영광스러운 구원이다. 이 셋은 전적(全的) 하나님의 은혜(恩惠)로 주어지는 것이다.
1. 중생과 성화
1) 중생(重生)은 거룩한 성질(性質)이 최초로 사람 안에 심어지는 것이요. 성화(聖化)는 중생시에 시작되어 점차적으로 이루어 나가는 강화(强化)이다.
2) 신자는 그리스도와의 연합(聯合)에 의해 악령과 죄의 왕권적 지배로부터 해방(解放)을 받았으며 중생에 의해 새 성질이 심어졌고,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의 보호에 의해 죄의 오염(汚染)으로부터 구출(救出)함을 받았다.
3) 그러나 심신과 생활의 모든 죄가 다 제거된 것은 아니다. 중생자(重生者) 안에도 첫째 아담의 요소인 타락성(죄악성)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옛 사람(부패성)을 벗고 새 사람을 입어 가는 점진적(漸進的) 성화가 요청되는 되는 것이다.
2. 성화의 특징
1) 성화의 소극적인 면은 점점 죄에 대해서는 죽은 자가 됨으로 죄의 더러움에서 벗어져 나오는 것이다.
2) 성화의 적극적인 면은 성령의 은혜를 힘입어 하나님의 형상을 쫓아 우리의 인격과 삶이 거룩해지며 새로와짐을 받는 것이다.
3) 성화는 그리스도께서 성취하신 대속의 공로를 근거하여 성령께서 신자 안에 계시면서 계속적으로 역사 하시는 은혜에 의해 중생으로 심으신 거룩한 성향이 강화되고 죄를 이기며,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 드리는 의의 실천이 증진되는 것이다.
4) 성화의 특징은 성화의 창시자는 인간이 아니라 하나님이시며 칭의와 같이 법적 행위가 아닌 도덕적, 재 창조적 행위로 오랜 기간의 과정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하나님의 형상을 닮아 가는 일로 결코 완전에 이르지 못하고 죽음과 부활 때에 완성된다. (빌3:21, 히12:23, 계14:5, 계21:27)
3. 중생과 성화
1) 중생(重生)과 같이 성화(聖化)도 전적 하나님의 은혜 역사이며 (살전5:23, 히13:20-21) 예수 그리스도와의 생명적(生命的) 연합의 결과이며(요15:4, 갈2:20, 갈4:19, 엡4:25)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의 역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요17:17, 갈5:22)
2) 중생은 인간의 의식적(意識的) 활동을 통하지 아니한 하나님의 단독사역(單獨事役)이나, 성화는 궁극적으로는 하나님께서 단독(單獨)으로 이루시는 것이지만, 우리 인간의 지.정.의(知情意)의 의식적(意識的) 행위를 통해 이루신다. 그러므로 성화를 위한 바른 깨달음과 소원(所願)과 결심(決心)과 노력(努力)이 없으면 이루어지지 않는다 (빌2:12-13, 골3:5-6, 엡4:24).
3) 성령으로 나서 항상 진리와 성령의 은혜 아래 있는 중생된 영은 새 생명의 원리(原理)에 따르는 새 성질로서 죄를 미워하며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나, 아직도 육체의 모든 부분에 부패성(腐敗性)이 남아 있다.(롬7:23, 빌3:12)
① 이로써 계속적(繼續的)이며 화해할 수 없는 대내전(對內戰)이 신자 안에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벧전2:11, 롬7:18-23, 갈5:16-17).
② 이 싸움에서 육신(肉身)은 영(靈)에 반대(反對)하고 영은 육신에 반대한다
③ 이 영.육의 투쟁에서 옛 사람 곧 부패성(腐敗性)이 일시적(一時的)으로 우세하게 보일 때도 있으나(롬7:23), 성령의 성화 시켜 주시는 은혜를 받음으로 중생과 성화를 입은 부분이 이기게 된다.(롬6:14, 요일5:4, 엡4:15-16)
④ 그러므로 성도는 은혜 안에서 자라 가야하며(벧후3:18, 고후3:18) 하나님을 경외(敬畏)함으로 거룩함을 온전히 이루도록 항상 힘써야 한다.(고후7:1, 빌2:12-13)
4. 성화와 선행(善行)
성화(聖化)와 선한 일의 관계는 성화에는 필연적(必然的)으로 선한 생활이 발생(發生)하고 선행은 공로적이 아니고 구원에 필요한 조건도 아니다. 다만 신앙(信仰)의 열매로서 나타나고(약2:14,17), 감사의 표현(表現)으로서(고전6:20), 하나님의 영광(榮光)을 위하여 필요(必要)하다(요15:8, 고전10:31)
5. 기본 구원과 건설 구원
1) 성경에는 땅 위에 사는 동안 우리가 힘써 이루어야 할 이 성화를 집 짓는 것으로 비유하였다(마7:24-27, 고전3:10-15). 그러므로 이미 받은 구원과 앞으로 받게 될 구원을 기본구원(基本救援)이라고 한다면 오늘날 힘써 이루어야 할 성화를 건설구원(建設救援)이라 할 수 있다.
2) 구원을 위하여 터를 다시 닦을 필요는 없으며 이 기초(基礎)를 견고(堅固)히 붙잡고 건설에만 주력(注力)하면 된다. (벧후1:10-11)
3) 이미 받은 구원의 은총(恩寵)을 바로 알고 감사하며, 장차 받게 되는 구원을 확신(確信)하며 소망(所望)하게 될 때, 오늘에 이룰 성화의 은혜를 입을 수 있게 된다.
4) 구속 은총에 대한 감사생활과 천국소망생활에서만 성화는 이루어지게 된다
이 성화를 위해 성경을 주셨고 (딤후3:16-17, 요17:17, 딤전4:5)
② 성령이 우리 안에 계시며(롬8:4,13,23,27, 갈5:16)
③ 전능의 섭리로 만들어 주시는 현실(現實)을 통하여 연단(鍊鍛)을 받아 성화(聖化)가 이루어지게 하신다. (롬8:28, 히12:11, 벧전1:6-7)
5) 그러므로 하나님의 선택(選擇), 그리스도의 대속, 하늘 나라의 소망(所望)을 굳게 잡고 의로운 인격과 생활이 되어지는 일(성화와 신행)에 주력해야 한다.
3. 성화의 완성
1) 성화는 개인적인 죽음과 부활의 때에 완성된다.
2) 금생에서는 부분적으로 완전하나 정도 상으로는 불완전하다. 중생된 부분은 완전하나 영적 성장 면에서는 정도상 불완전하다.
3) 그러므로 신자들은 영육간(靈肉間)에 그리스도의 장성(長成)한 분량이 충만(充滿)한 데까지 이르도록 자라야 한다. (엡4:13)
4) 이 세상에 살아 있는 동안 항상 회개하고, 죄로 더불어 싸워야 하고, 자기를 지켜 세속에 물들지 않게 하며 언행심사(言行心事)를 삼가며 자기를 하나님께 산 제물로 드려 하나님의 뜻만을 이루는 신행(信行)에 주력해야 한다.
4. 중생된 영
1) 중생된 영은 범죄(犯罪)하지 않는다는 것은, 중생된 사람은 범죄 한다는 것을 전제(前提)하고 하는 말이다. 완전히 성화된 사람은 범죄하지 않게 된다는 완전론(完全論)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2) 중생된 영이 범죄하지 않는다는 말은 중생한 사람이 범죄할 때라도, 그의 가장 깊은 중심에 자리 잡고 있는 하나님의 법(法), 성령의 역사(役事), 하나님의 씨, 새 영, 새 성질, 속 사람은 죄를 미워하고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성령과 진리의 역사 아래 있으며 새 생명의 지배(支配) 아래 있는 거듭난 영은 하나님을 거역할 수 없는 본질.본성(本質本性)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3) 죄를 대적(對敵)하며 하나님의 법에 복종하게 하는 영적(靈的) 움직임이 중심으로부터 일어나지 않는 자는 죄를 벗어날 수 없고 하나님의 뜻에 복종 할 수 없다. (롬8:7)
1. 중생과 성화의 차이점을 말하시오.
2. 성화의 필요성을 설명하시오.
3. 영.육의 투쟁의 원인은 무엇이며, 영의 승리를 위한 우리의 힘써 할 일은 무엇입니까?
4. 성화와 신행과의 관계를 말하시오.
5. 건설 구원을 위한 방편과 자본을 말하시오.
6. 중생된 영이 범죄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무엇입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