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 2025년 05월 10일 (토요일)      로그인      회원가입
Home     목사를 막아라, 텅빈본당 /목사 연금 1,600억으로 '돈 장사'한 집사 구속/ 캄보디아 박율 목사 체포 충격               최태민 구국선교단 참여 목사들 / 십일조 하지 말라는 목사 /한우갈비’외치는 기감목사들               기독교사회복지엑스포’ 서울광장서 개막 / 여호와의 증인 병역거부 무죄               선교사들 위한 안식관 두 곳/ '노트북이 뭐라고' 소송 총동원한 사랑의교회               언더우드 후손 28명 우리 고향은 South Korea/ 군종장교 범죄               박수홍, 하나님께 대한 최소한 예의/ 죽음의 질(Well dying) 중요               목사님이 운영하는 중고자동차 매매센터               예장통합 ‘제2의 세습방지법안’ 총회 통과/ 예수님처럼 교회도 하늘에서 내려와야               서울대 인권 가이드라인,적극 반대 /목회자의 고백 7가지 실수               총회장 2명을 배출한 여인의 힘! /복음화율 10% 안 되는데 주일학교만 1천 명              

  홈     이삼규     강문호.     고신일     곽선희.     김광일.     김기석.     김명혁     김병삼     김삼환     김상복     김성광.     김성수     김은호     김정호.     김홍도.     류영모.     명설교     박봉수.     오주철.     옥한흠     유기성     이동원     이성희.     이양덕.     이영무     이윤재     이재철.박영선     이정익     조봉희.     조용기.     주준태     지용수     피영민     하용조     한경직.     홍정길.임영수     해외목사님     관     괄사치유     기도문     (1)새벽     새벽.금언     인물설교     상식/주일     장례,추도.심방     가정설교     영문설교     목회자료/이단     교회규약     예화     성구자료     강해설교     절기설교     창립,전도,헌신,세례     어린이.중고등부     << 창세기>>     출     레     민     신     수     삿     룻     삼상     삼하     왕상     왕하     대상     대하     스     느     에     욥     시     잠     전도     아     사     렘     애     겔     단     호     욜     암     옵     욘     미     나     합     습     학     슥     말     <<마태복음>>     막     눅     요한     행     롬     고전     고후     갈     엡     빌     골     살전     살후     딤전     딤후     딛     몬     히     약     벧전     벧후     요일     요이     요삼     유     <<요한계시록>>     말씀별설교     제목별설교     A)행사,심방     B)행사심방     예수님행적설교     성구단어찾기     이야기성경     설교(틀)구성하기     자주사용하는본문     사건별설교(구약)     사건별설교(신약)  

:: 로그인 ::
 ID   
 PASS   
로그인  회원가입
Home
  설교작성법(여기누르면 다나옴)
  설교잘하는 방법(여기누르면 다나옴)
  동영상.간증자료(여기누르면 다나옴)
  교계 뉴스 ------- (전체보기)
  생활전도(여기누르면 다나옴)
  전도편지
  참고 설교(성구)
  장례식 샘플설교
  오래된 설교(왕)
  카드,핸드폰결제

설교내용검색

네이버.다음.구글


시작페이지 설정


호산나 자동차


교회인쇄주보디자인


밀알.현수막.주보


제주2박3일210.000원


(방송)설교 교회

해외교회사이트

예배와 찬양


목회자 컬럼
  • 교회와신앙칼럼
  • 뉴스미션칼럼
  • 뉴스엔조이칼럼
  • 당당칼럼
  • 남학매일성경
  • 기독공보칼럼
  • 기독목회칼럼
  • 베리타스칼럼
  • 강남신앙간증
  • 아멘넷칼럼
  • 크리스천칼럼
  • 타임즈칼럼
  • 강문호목사
  • 고신일목사
  • 김기석목사
  • 김대동목사
  • 김명혁목사
  • 김성광목사
  • 김승욱목사
  • 김형준목사
  • 김흥규목사
  • 명성훈목사
  • 박광철목사
  • 박건목사
  • 소강석목사
  • 이동원목사
  • 이성희목사
  • 이한규목사
  • 정근두목사
  • 정태기목사
  • 조태환목사
  • 조현삼목사
  • 밤중소리

  • 교단 사이트

    말씀,QT

    사전.지도사이트

    성화,주보그림자료

    성경연구공부자료

    성경신학 자료

    Home

    3. 애나하임 빈야드교회와 빈야드 운동
    2005-12-19 15:10:39   read : 65536  내용넓게보기.   프린트하기



    1. 애나하임 빈야드교회(Anaheim Vineyard Christiiam Fellowship)



    죤 윔버가 1977년 50명의 교인으로 설립한 애나하임 빈야드 교회는 1983년 3,000명이 되었고, 1987년에는 5,000명의 교인으로 성장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빈야드 운동(Vineyard Movement)의 중심지로써 600여 개 빈야드 교회의 모교회로서 역할과 사역을 담당하고 있다. 1995년에는 애나하임 빈야드 교회 창립시부터 함께 했던 칼 터틀목사를 후임 담임목사로 세우고, 자신은 교회사역은 2선으로 물러나 빈야드운동에 더욱 매진하고 있다.

    담임목사 교체 이후에 약간의 하양 곡선을 그리기도 했으나 현재는 신임 칼 터틀 목사를 중심으로 스탭진이 재편성되어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2. 빈야드운동



    갈보리 채플의 지교회로 사역하던 죤 윔버는 1983년에 켄 걸리스켄(Ken Gullisken)목사를 중심으로 움직이던 6개 교회가 연합되어 있는 "빈야드"라는 이름의 교회 연합체에 동참하게 된다.

    이후 존 윔버는 이 교회들의 지도자가 되며 1985년에는 빈야드 교회 연합회(The Association of Vineyard Churches)를 구성하게 된다.

    죤 윔버를 지도자로 하는 빈야드 운동은 '빈야드 교회 연합회(AVC)'라는 이름으로 1995년 말 현재 전 세계에 670개 교회를 회원으로 갖고 있는 교단의 모양으로 발전하고 있다. 죤 윔버는 빈야드 운동이 교단이면서도 구속력이나 세력확장을 목표로 삼지 않으려 한다. 이는 "교회 분열을 조장하지 않는다"라는 기본 원칙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AVC는 기존의 교회가 가입하는 것 보다는, 새로이 빈야드교회가 개척하는 것을 더욱 환영하고 장려한다. 불신자를 회심시켜 그들을 수용할 교회가 훈련되고 인정된 지도자에 의해 개척되는 것을 가장 이상적인 교회 성장의 모습으로 보고, 실제로 그렇게 되도록 이끌어 간다.

    또 AVC에 소속되어 있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같이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고 있어 타 교단 소속이면서도 빈야드와 협력관계를 갖고 사역하는 지도자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또 다른 기관으로는 빈야드 국제 선교회(Vineyard Ministries Intemational,이하 VMI는 전세계에서 빈야드 세미나를 주최하고 자료들을 출판한다.

    VMG는 1995년 VMI로부터 독립하였으며, 빈야드 사역의 매우 중요한 부분인 음악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3. 빈야드사역



    1. 능력전도/능력치유



    빈야드 운동이 갖는 궁극적 목표는 전도와 교회 성장 개척이다.

    영혼이 회심하여 주님께 돌아오고 그 결과로 지역 교회가 생겨나고 성장하는 것이다. 바로 주님이 주신 지상명령을 이루자는 것이다.(마 28:18-20) 이 지상명령을 이루는 데에 "우리에게 성령을 보내시고, 그 성령과 함께 능력을 주셨다.(행 1:8)"는 것이다.

    신약성서적인--특별히 복음서와 사도행전을 중심으로 한 예수와 제자들--

    사역은 거의 모든 경우에 기적적인 하나님의 능력을 수반하였다.

    예수께서는 어느 여인의 과거를 아시기도 하였고, 병든 자를 치료하셨으며, 죽은 자를 살리기도 하시며, 영, 혼, 육 전인격을 치유하시며, 복음을 선포하셨고 전도하셨다. 즉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하시며, 또한 그 나라의 실재를 보이셨다는 것이 빈야드 사역의 바탕을 이룬다.

    그 일이 나타남은 전적으로 성령의 역사이며, 그러기에 성령의 인도하심에 대하여 열려 있으려 한다. 그러나 '표적과 기사' 지상주의는 경계하여 "우리의 목표는 능력전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도에 있다"고 말한다.



    2. 하나님나라 신학(The Kingdom thelology)



    빈야드 사역의 신학적 기초는 하나님 나라 신학 (The Kingdom thelology)에 있다. 특히 George Ladd의 하나님 나라 신학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미 왔으나 정차 올 하나님의 나라(The Kingdom came, yet to come)"로 표현되어진다.

    이것이 하나님의 능력과 성령의 역사가 현재 모든 교회를 통하여 마땅히 나타날 수 있다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3. 빈야드의 비젼 - 성도를 온전케 함 (Equipping the saint)



    빈야드 사역에 있어서의 비젼은 에베소서 4:11-13을 바탕으로 한 '성도를 봉사(사역)의 일을 하도록 온전케(갖추게)하는'데에 있다. 이제까지의 많은 능력사역들이 하나님의 특별한 은총을 받은 소수의 지도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던 것에 반하여 모든 믿는 자들에게 보편 타당성 있게 주어졌음을 가르치고 또 그럴 수 있는 환경을 주성하여 준다.

    실제로 빈야드 교회들은 많은 평신도 사역자들이 여러 가지의 영적 은사들을 실행하고 큰 열매를 거두고 있다. 어느 빈야드 목회자의 표현을 빌면 "나는 이 교회의 목회자로써 우리 교회 교인들이 나보다 더 큰 능력을 역사하도록 하는 일에 헌신했다"는 것이다. '성도들을 갖추게 하여 사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교회의 일인 것이다.



    4. 빈야드의 가치관 (Vineyard Values)



    빈야드 사역의 뼈대를 이루는 가치관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것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고, 항상 추가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a. 하나님을 좇아감 - 우리의 모든 행함에 있어서 하나님을 찾으며, 그의 임재를 기대하며 기다린다.(요 4:35, 5:19-20)

    b. 성경 - 복음적인(Evangelical)기독교인으로, 성경은 최종적 권위이다. 우리의 삶과 사역 방법은 성경의 가르침으로 형성되어야 한다.(딤후 3:16-17)

    c. 하나됨 - 우리의 형제와 자매들은 우리의 대적이 아니다. 우리는 예수께서 사랑하시는 바 "모든 교회"를 사랑한다.(엡 4"3-6)

    d. 갖춤(온전케 함) - 하나님은 믿는 자들에게 달란트, 은사, 사역들을 주시고, 그것들을 나타내도록 믿는 자들을 부르시고 능케 하신다. 모든 사역의 지향하는 바는 성경적 진리를 일 상의 삶 속에 완성함으로 우리의 지역 사회 등에 그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엡 4:11-13)

    e. 관용 - 우리는 하나님의 선물과 자원을 맡은 청지기다. (마10:8, 10:39, 13:45-46) 우리의 사역을 우리가 소유하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갖는 우리의 것이 아니다. 우리는 "줄 것 을 얻기 위하여 준다"

    f. 간단성 - 우리는 "자연스럽게 초자연적"이기를 원한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하나님을 떠나 우리에게 주의를 갖게 하는 행동을 피한다.(고전 2:2-5, 약 3:13, 살전 4:11-12)

    g. 연민과 자비 - 우리는 하나님을 순종하는 삶을 살려는 모든 믿는 자들을, 그들의 죄를 회개하고 교회의 권위에 복종하는 자들, 우리의 모임에 받아들이기를 원한다.(약 2:13, 요8:1-11)

    h. 관계 - 사람들을 돌보는 것은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 다음으로 우리에게 중요한 일이다. 왜냐 하면 십자가의 목적은 인간을 구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롬 12:9-13, 고전 13:4-9, 골 3:12-14)

    I. 위험 감수 - 은사의 개발은 시행착오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배우는 동안에 일어나는 약함과 실수에 대하여 오래 참음으로 대한다.(요 21:15-19, 갈 5:22-23)

    j. 문화적 현재성 (Culyure current) - 사역의 대상이 되는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 그들이 복음과 하나님께 접근하기 용이토록 한다.(고전9:19-23)





    5. 구제사역



    빈야드 사역을 설명할 때에 간과 할 수 없는 부분이 바로 구제 사역이다.

    기존의 많은 영적 운동이 사회에 대한 봉사가 결여되어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반해 빈야드는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에 드러남에 있어서, "... 가난한 자에게 복음 전하게 하시려고..."(눅4:18)", "다만 우리에게 가난한 자들 생각하는 것을 부탁... (갈2:10)" 하신 것을 행하고 있다.

    거의 모든 빈야드 교회들에서 구제 사역은 매우 중요한 교회의 사역이 되고 있다. 애나하임 빈야드 교회의 구제 사역부는 1995년 현금을 제외한 구제 물품액만 백만불이 넘을 정도의 수준이고, 교회에서 가장 큰 사역부서로서 본당을 제외하고 가장 큰 면적을 사용하고 있다.

    매 주일 이 삼백명 정도의 인근지역 빈곤층을 초청하여, 점심을 제공하고, 식료품 등을 배분하며, 병자를 위해서 기도해 주고, 그들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하기도 한다.



    6. 예배의 구성



    빈야드의 거의 모든 예배 모임은 크게 경배, 말씀, 사역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a.. 경배(찬양) - Worship

    이들은 찬양이라는 말보다는 경배(Worship) 라는 말을 즐겨 사용한다. 그 이유는 하나님께 드리는 우리의 찬양 속에서 하나님을 만난다는 경배의 의미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찬양(경배)을 예배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그 자체가 매우 중요한 믿는 자로써의 행위라고 여긴다.

    "찬양(경배)는 준비가 아니라 바로 실제이다" 이 경배를 통하여 많은 사람들이 예수를 경험하고 병이 낫거나 더 큰 믿음의 확신을 갖게 되기도 한다. 경배(찬양)의 또 다른 특징은 사용하는 음악이 다른 모든 빈야드의 특징과 마찬가지로 문화적으로 현재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b. 말씀(가르침) - Teaching

    성경을 가르치는 것을 아주 중요한 사역임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한 가지 특징을 들자면 대체적으로 난해하거나 어려운 것 보다는 쉽고 간단한 경우가 많다. 그 이유중 하나는 교인들이 배워 그것을 그대로 가르칠 수 있어야 된다는 것 때문이기도 하다.



    c. 사역 - Ministry

    말씀을 가르친 다음에는 그 주제를 중심으로 기도사역의 시간을 갖는다. 예수와 제자들의 사역이 가르치고 행하였다는 것을 바탕으로 가르친 다음에는 성경께서 역사하시도록 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다. 이 때에 많은 사람들의 문제가 해결되고, 병이 낫기도 하는 성령의 역사가 나타난다. 모든 사역이 마찬가지 이지만 성령의 인도하심을 중요시 여기며, 여러 가지의 은사들을 따라서 행하여진다.







    5. 기타 관련 연구과제



    1. 토론토 블레싱 (Toronto Blessing): 토론토 에어포트 교회











    2. 성령의 역사 및 현상 (Phenomena)









    3. 죤 윔버 목사의 건강







    뉴라이프 교회(New Life Community Church)





    1. 뉴-라이프교회의 역사 (교회소개서에서 발췌)



    저희 뉴 라이프 교회에 오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저희 교회는 가리스마틱한 순복음교회로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를 연구하기 힘쓰며, 그 말씀대로 순종하려하는 교회입니다. 우리는 성령의 세례를 믿으며 또한 현 시대에서도 신양성서 시대에 전파되었던 영적은사들의 운영을 믿고 있습니다.



    주님께서는 저희 교회를 여러 재능과 은사 곧 교육적으로, 경제적으로, 문화적으로 또한 영적으로 다양하게 축복하셨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저희 교회의 많은 사람들이 각양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캐톨릭, 어떤 이들은 개신 장로교, 감리교, 메노나, 침례교, 그리고 유대인 등... 하지만 우리들은 한가지 공통된 것일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 중 예수 그리스도를 온마음을 다하여 사랑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성령을 세례를 받을 때 각양 다른 영적은사를 주셨기 때문에 여러모습들을 저희 교회 봉사가운데서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선지자 은사자들을 통하여 말씀을 하실수 있습니다. 예배도중에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방언을 하기도 합니다. 주님께서 허락하시면 기가막힌 영적 구원의 역사 또는 기적적인 고침도 일어납니다.



    우리는 우리의 형식으로 예배하는 이유는 구약과 신약성서에서 하나님께 예배함을 이같이 말하기 때문입니다.

    "거룩한 손을 들어... "

    "손뼉을 치며 ... "

    "소리나는 꾕가리와 춤을 추며 찬양하며..."

    "소리내어 기뻐하며 ... " 그리고 "모든 악기를 동원하여 예배하라..."

    믿는 자들이 성령이 충만해지면 예배와 찬양을 통하여 기쁨이 나타나는 것은 극히 당연한 결과입니다.



    저희 뉴-라이프 교회에서는 모든 사람들이 살아계신 중 예수 그리스도와 개인적이면서 활력적인 관계를 맺도록 이끄는데 주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저들의 삶에 생동력을 심어주고 기쁨을 가져다주기 위한 하나님의 선물인 성경을 알게하려고 그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그것은 예수께서 우리에게 주시고자 하는 새생명을 찾기위한 열쇠가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2. 교회예배와 모임시간



    주일 오전 8:00 - 9:30 (제 1부예배) (탁아 없음)

    찬야, 예배와 성경공부



    오전 10:00 - 정오 (제2부 대예배)

    찬야, 예배와 어린이 교회



    오후 6:00 - 8:30 (주일 저녁예배)

    찬양, 예배와 성경공부

    어린이 - 왕국 특공대와 작은 선교사들의 모임



    수요일 오후 7:00 - 9:-00 T. A. G. 모임

    중.고등부 학생들



    주중에 점조직제들을 각 정하여진 시간에 성도들의 가정에서 만남, 점조직체 사역에 대하여 관심있으신 분들은 현관에 위치한 점 조직 인포메이션 센터에 오셔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뉴-라이프 교회의 입적인원은 지난해 출석인원들의 헌금기록을 토대로 합니다. 현 입적인원은 약 6.000여 명 입니다.





    3. 교회 철학과 구조 여부



    - 철학

    뉴-라이프 교회의 철학은 성서에서 발견되는 바 신약시대의 교회 모습을 토대로 하여 우리는 성령의 내재하심으로 합하여지며, 하나님과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와 개인적인 관계를 추구합니다. 예수께서는 교회의 머리가 되시며 모든 교인들은 그의 명령에 따르게 되는 것입니다. 교회는 사람들을 구원하거나, 고치거나 아니면 원상복귀하는 일을 책임 갖지 않습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그 일들을 하십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단번에 자기 자신을 오순절에 성령의 모양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부으심을 믿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그리스도 예수를 구주로 시인하면 거듭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거듭난다 함은 예수께서 십자가상에서 이루어 놓으신 것을 물려받아 새로 태어난다는 것을 뜻합니다.



    우리가 새로 거듭날 때 모든 것이 새로워 집니다. 하나님께서 성령과 말씀으로 우리의 삶에 개입하시며 우리를 안에서부터 밖으로 변화시키십니다. 새로운 기쁨을 체험하게 되고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 할 수 있는 새로운 힘을 얻게되며 새로운 용서를 우리의 마음에 갖게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 겸손과 놀라움 그리고 두려움으로 서게 되며 교회의 성결을 지키기에 대단하 관심을 갖게 됩니다. 믿는자로서 우리는 우리 자신을 세상과 그 가치관으로부터 관리하며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분별되며 거룩하기로 동의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기도와 금식은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데 아주 중요한 것이며 선교를 통하여 이 도시와 온 세계에 있는 모든 성서적인 믿는 모임 단체들을 세우는데 힘써야 할 것입니다.



    선교는 교회의 중요 초점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10월에는 저희 교회가 10/40 창문 계획에 참여하게 되는데 이것은 이천여만명이 창문을 통하여 함께 기도에 동참하는 계획입니다. 개교회적으로 기도대원들을 동시에 조직하며 10/40 창문 계획의 각처에 있는 많은 비중의 아직 예수가 전해지지 않은 사람들이 직사각형의 10/40 창문에 살고 있습니다.

    그것은 혁띠같이 서아프리카에서부터 아시아까지 이르는 위도 10도에서 위도 40도를 말하고 있는 곳입니다. 이곳에 95%의 사람들이 아직 복음을 접하지 못했으며, 84%의 가난한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으로 대부분의 모슬람, 힌두종교인들과 불교인들이 있는 위치이기도 합니다.



    - 교회구조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을 사랑합니다만 "교회"에 대하여 잘못 오해하고 환멸을 느끼는 것을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회중에 너무 복잡한 구조를 떠나 예수 그리스도와의 만남, 또한 그의 말씀안에서 성장할 수 있기 기회를 줄 수 있는 교회라면 사람들의 관심을 사게 됩니다.



    우리는 교회의 성실성과 성결성과 교회의 목적을 유지하기 위해 까다로운 구조나, 수많은 위원회라든지 입교인들에 대한 요구사항이라든가 약정 카드 등을 갖지 않습니다. 우리는 여러분들이 하나님께 매주 얼마나 비치기로 작정했는지 등의 기록들을 유지하고 있지 않습니다. 십일조와 헌금등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우리의 예배의 일부이며 그것은 각 개인의 하나님과의 관계의 표현인 것입니다.



    저희 교회 행정은 교회 일부의 이사위원 5명(근교 목사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 교회 목회자들이 책임 변명을 해야하는 그룹입니다.

    그 외에도 24명의 장로들이 있어, 온 교우들을 섬기며, 건축위원회는 건물과 생건축을 책임지게 됩니다.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는 매주 작은 소그룹(점 조직)으로 각 가정에서 만납니다. 이 점 조직은 서로를 알게되며 서로의 구체적인 필요를 나누어 기도와 상담과 심방과 여러 가지 다른 도움으 로 서로를 도와 받혀줄 수 있는 기회를 가져다 줍니다. 이 점 조직 그룹안에서는 매주 교회에서 가르치는 영적인 원리들을 논하며 영적 은사들에 사용과 용도 등에 대해 더욱 배우며 우리의 주위 이웃과 우리의 도시의 전도 기회들을 토론하게 되는 것입니다.





    4. Ted 목사에 대하여



    Ted 목사는 Oral Robert 대학교 1학년때 주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심으로 사역에 부름을 받았다. 하나님께 확인을 요구한 Ted목사는 그 몇일안에 편지와 전화 등을 받음으로 그의 부르심을 확신을 갖게 되었다. 1978년 졸업 후 그는 주로 철의장막과 제3세계 사회주의적인 나라들을 대상으로 배후에 선교하는 World Mission for Jesus (예수전도단)이라는 곳에서 일하였다. 계속 승진한 끝에 부사장이 되었지만 목회에 대한 사명이 더욱더 그의 가슴에 간절해 지는 것을 느꼈다.



    그후 Bethany World Prayer Center (베다니 세계 기도센터)로 접근한 후 청소년 담임목사로 일하며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을 가르쳐 그들로 세계 정세와 사건들이 교회 정세에 어떠한 직접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는지에 대해 이해하도록 도와주었다. 아울러 Bethany Family Counseoing Center (베다니 가정 상담 센터)를 증설하는데 큰 도움을 가져다 주었다.



    주님께서 Ted 목사와 그의 아내 Grace를 Colorado Springs로 지난 1984년 부르심으로 확신을 얻어 Bethany World Prayer Center의 전적인 후원하에 Ted 목사는 뉴-라이프 교회(New Life Church)를 창설하게 된다.



    첫 예배를 자기 지하실에서 25명으로 시작하여 지난 10여년간 6,000여명의 교인수 교회로 성장하였다. 그는 자기의 어린시절 "보수적인"교회에서 자라며 경험하였기에 그는 무엇보다도 그저 하나님을 사랑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사모하고, 서로를 사랑하며, 성실하기를 사랑하는 그러한 예수의 몸이 되는 교회를 창조하기로 이끌림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므로 지금의 뉴-라이프 교회가 되었다. 그 후 Ted목사는 여러 원근교회 목회자들로부터 그들의 교회를 새롭게 재조직하는 일에 도움을 요청받고 있는 실정이다. 교회성장과 전도 세계에서는 Ted목사의 영향이 Bill Moyers 등 Media 곧 U.S. Newst World Report, Los Angeles Times, New York Times Chicago Tribune, Washingtio Post, Denver Post, Charisma Magazine 등 ABD와 NBD국내 방송국 등 BBC와 Intemational News Network 들에게서 인정을 받은 바가 있다. 현재 그는 국제 정통교계위원으로 Colorado 정통 교계위원으로, 지구 추수사역위원으로, 모든 가정 그리스도화 단체와 기독인과 유대인의 대화 등의 단체에서 섬기고 있으며, 몇몇 책을 근래에 저서하였다. 그의 저서 한 책은 Primary Purpose (제일 첫째 목적)을 Creation House에서 인쇄하였으며 Discoverling Ancient Wisdom (구 세계의 지혜 발견하기)를 New Intmational Bible Society 를 위해 편집하기도 했다.

    그는 개인 성경공부지들을 저서했으며, 가르침의 지침을 테입으로도 만들어 내었다. 그와 그의 아내 Grace에게는 다섯 자녀가 있다.







    Focus on the family



    창시자 및 총재 : 제임스 답슨 박사

    (Founder & President: Dr. James Dobson, Ph.D.)

    본부: Focus on the Family, Colorado Springs, CO.80995





    1. 사역소개



    Focus on the Family 란 사역은 미국의 점차 악화되는 심각한 가정문제에 대한 제임스 답슨 박사의 개인적인 도전으로 1977년 정식으로 시작되었다.



    U.S.C.(남가주 대학)의과 대학원에서 14년 동안 교수로 일하면서, 미국의 가정들이 내적과 외적의 여러 가지 압력과 악영향으로 여지없이 파괴되는 광경을 안타깝게 보면서, 여기에 교회나 그리스도인 단체들이 어떠한 실제적이며 구체적인 도움과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이 사역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사역철학을 가지고 이 사역이 시작되었고 지금까지 활발하게 계속되고 있다. "Focus on the Family 사역의 근본적인 목적은 성령님과 협력하여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을 회개한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며, 또한 특별한 기독교적인 가치관과 가정제도를 보전하는 방법으로 이 목적을 이루는데 있다."



    사역초기 캘리포니아 주 알케디아 시에 있는 사무실방 2개를 빌려 제임스 답슨 박사 홀로 약 40-50개 밖에 안되는 방송국들을 통하여 25분 짜리 Radio 방송으로 시작된 이 사역은, 오늘날 1,300명이 넘는 직원들과 50개의 사역부서 약 4,000개의 방송국을 소유하는 세계적인 단체로 발전하게 되었다.





    2. Focus on the Family의 사역들



    A. Radio 프로그램

    "Focus on the Family": 이 모든 사역의 대명사이며 이 모든 것들을 시작한 라이오 방송 사역으로 매일 30분 동안 가정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결혼, 자녀교육, 건강, 영적과 정신적인 성장 등등)일주일에 18,000회씩 4,000개의 방송국을 통하여 세계적으로 방송되고 있다.

    이 외에도 "Weekend", "James Dobson Family Commentary", "Focus on the Family Commentary", "Armed Forces Radio & Television Services Broadcast", "Family News in Focus:, "Adventures in Odyssey"등 가정에 관한 issue를 중심으로 방송한다.



    B. 정기 간행물 / 잡지 (Periodicals)

    "Focus on the Family": 월간으로 발행되어 현재 약 2천만 가정들에게 무료로 운송되고 있다. 그 외에도 혼자사는 부모들을 위해 "SingleParent Family"와 아이들을 위한 "Clubhouse Jr." 그리고 "Citizen", "brio", "Breakaway", "Teachers in Focus:, "Parental Guidancd", "Physician" 등의 정기간행물들을 발간한다.



    C. 필름과 비디오

    Focus on the Family에서 제작한 여러 가지 영화와 비디오 및 T.V. Progran들이 있다. 여기서 몇 가지만 소개하면 "Adventure in Odyssey", "Children at Risk", "Focuw on the Family", "Last Chance Detective", "MaGee & Me", "Turn Your Heart Toward Home!등이 있다.



    D. 책

    제임스 답슨 박사가 직접 쓴 여러 책들 (13권의 Best Sellers)외에도 미국에서 유명한 기독교작가, 심리학자, 목사들이 쓴 많은 책들도, 역시 죽어가는 미국가정을 살리는데 목적을 가지고 Focus on the Family 출판사에서 직접 출판하고 있다.



    E. 기타 사역

    위엣 것 외에도 아이들을 위한 여름캠프사역, 지역 선교 프로그램 사역들, 상담사역(카운슬링), 목회자들을 돕고 협력하는 여러 사역들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3. James Dobson 박사



    James Clayton Dobson Jr. 박사는 독실한 기독교 가정(부친은 나사렛교회의 목사, 모친 가족은 3대째 목사 가정)에서 태어나 장성하면서, 특히 진실한 부모님의 기독교인의 삶에서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신학교는 진학하지 않았지만, 그의 가슴속에는 가정을 위한 사역에 대한 소명이 끓고 있었다. 그리하여 U.S.C.(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남가주 대학)에서 아동심리학과 교육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수여했다.

    그 후 모교인 U.S.C. 의과 대학원에서 14년 긴 세월의 소아과 교수로 지내오며, 오랫동안 그의 가슴을 아프게 했던 현실, 즉 미국의 무너져가는 성경적인 가치관과 가정의 기초에 대하여 하나님의 부르심을 느낄수가 있었다. 오랫동안의 기도와 준비 끝에 Dobson박사는 마침내 학교를 사임하고 Focus on the Family 사역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그의 첫 번째 쓴 "Dare to Discipline"이란 책은 미국에서만 이백만권이 넘게 팔렸고 "Love Must Be Tough"외에 12권의 Best Seller들이 있다. 그의 사역의 열매로 1982년에는 미국 복음주의 협회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에서 선정한 "그 해의 평신도 (Layman of the Year)상 외에도 기독교 단체와 비기독교 단체에서 많은 상들과 칭송을 받아왔다.

    1980년 Jimmy Carter대통령 시기부터 George Bush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여러 중요한 국가 연구위원회(National Commission)의 고문으로 섬겨 왔으며 현 미국의 심각한 가정문제에 대하여 대통령에게 Adviser격으로 보조하여 왔다.









    4. 사역의 특징



    Focus on the Family는 결코 지역교회도 전형적인 선교기관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현재 미국에서 어두워져가는 도덕과 사라져가는 청교도들의 성경적 가치관과 윤리관, 그리고 너무나도 비참하게 무너져 가는 가정(예컨데, 2 가정중 1가정은 반드시 이혼하는 미국의 현재 통계)을 위하여 그 어떤 교회나 선교단체보다 더 미국의 가정과 사회의 교회에 그리스도의 충격을 (impact)을 주고 있는 단체이며 특히 사역 기관이다.''

    특히 지역교회에서나 선교기관에서 다루기가 거북한 문제들을 (가정의 정의, 결혼과 부부의 문제, 이혼과 이혼자들의 문제, 재결혼, 유산문제-특히 Focus on the Family는 Pro Life/Abortion 즉, 인공유산을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운동으로 유명하다 - 안락사 (Euthanasia)문제, 동성연애 문제 등등) 성경적인 입장에서 담대하게 가르치며 해결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Focus on the Family의 모든 사역을 조정 (govem)하는 그들이 5가지 official한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는 삶의 최고의 목적은 하나님을 알고 영화롭게 하며, 또한 우리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 하여 영생을 얻는 것이라 믿는다. 이 목적은 바로 우리 가정으로부터 시작하며, 아직도 그의 사랑과 희생을 알지 못하는 방황하는 모든 인생들에게 적용된다.

    2) 우리는 결혼이란 하나님께서 친히 내신 제도로 영원하며(Permanent)남자와 여자의 평생관계 이며, 어떠한 역경이나, 병마나,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정신적인 어려움도 끊을 수 없다고 믿 는다.

    3) 우리는 우리에게 허락된 자녀들은 하나님께서 주신 유업이요, 그 분의 손의 축복이라고 믿는 다. 따라서 우리는 이 자녀들을 하나님의 나라와 인류을 위한 하나님을 사명을 위해 어떻게 양육하고 준비시키는가에 대하여 하나님앞에 책임이 있다.

    4) 우리는 모든 인간의 생명(아직도 태어나지 않은 모태안의 생명, 노약자, 정신박약자, 정신질 환자, 추남추녀, 신체장애/불구자, 또한 어떠한 상태의 생명)의 존엄성과 무한한 가치를 믿는 다.

    5) 우리는 하나님께서 인류의 유익을 위하여 세가지 기본적인 제도를 친히 제정하셨다고 믿는 다. - 가정, 교회, 국가 가정은 인류의 번성을 위해 2세들을 사랑하고, 가르치고, 양육하는 안전하고 안정된 보금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존재한다. 교회는 각 가정들에게 하나님의 사랑 을 나누며 또 예수그리스도의 보혈을 통한 구원을 전파하며 섬기기 위해 존재한다. 국가는 문화적인 균형을 유지하며 사회질서의 뼈대를 마련하기 위해 존재한다.



    Focus on the Family는 이 원리를 모든 사역에 적용하며, 이 원리들이 모든 사역의 영역에 명백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고 있다.





    빌리그레함 박물관



    시작 초기부터, 미국은 하나님의 진리를 선포하고, 또한 그렇게 살려고 애썼던 신실한 믿음의 사람들에 의해 형성되어져 왔다.



    오늘날 빌리 그레함 센터 박물관은 이러한 풍부한 영적인 유산들을 우리에게 나타내 보여준다. 진귀한 예술품들, 역사적 발자취, 그리고 눈에 띄게 훌륭한 전시들을 통해, 방문객들은 미국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들과 복음주의의 영향들을 생생히 경험한다.





    미국의 복음주의 (Evangelism in America)



    초기 개척자들의 시대때부터, 복음주의는 미국의 삶 속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 왔다. 과거시대로 되돌아가 보면,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명령을 충실히 수행하고자 노력했던 헌신적이며 담대한 복음전도자들, 설교자들 그리고 선교사들을 만날 것이며, 모든 사람들에게 특히 공헌했던 사람들, 즉 죠지 윗필드, 서져너 트룻, 챨스 피니, 프란시스 아스베리, D.L.무디, 이벤젤린 부스, 빌리선데이, 그리고 다른 많은 그리스도를 위해 담대히 헌신했던 사람들을 주목해 보자. 이 전시관은 또 한 과거의 영적 대각성 운동과 그것이 나라의 역사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대기적 기록들을 보여준다.



    진리의 복된 소식(The Good News of the Gospel)



    어두운 방, 성경 텍스트들로 둘러싸여 있는 곳에 놓여있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현대예술가 프레드릭 하트의 드라마틱한 감동을 주는 조각품인 "The Cross of the Millennium"(천년의 십자가)은 기독교인들의 마음을 시각적으로 생생히 자세하게 들려준다. 여러분이 그 주변을 돌 때 , 어떻게 그것이 그분의 탄생과 죽음과 부활하심을 나타내 주는지를 주목하면서, 그리스도의 형상에 초점을 맞추고 보라.



    빌리 그레함 스토리



    가족 사진들과 개인적인 소장품들은 빌리 그레함의 전승을 상세히 이야기해 준다. 그의 삶의 이정표들(10대 청소년 시절에 일어났던 그의 중생에서부터 그의 첫 번째 설교를 시도하기까지)은 후에 있을 세계전도사역을 위한 하나님의 준비하시는 손길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그의 신앙의 확신을 형성했던, 그리고 그를 국제적인 관심속으로 이끌었던 전환점들을 주목하여 보자. 만약 여러분이 박물관에 있는 빌리 그레함의 전도여행 설교단에 서 있다면 여러분은 그의 성경책과 그의 설교노트를 검토해 볼 수 있고, 또한 3개의 특별 스크린 상영들을 통해서, 여러분은 어떻게 전도집회가 운영되며, 그후에 일어났던 모든 일들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모든 것들을 통해, 여러분은 빌리 그레함과 그의 연합조직이 전세계에 선포했던 메시지 (예수그리스도의 믿음을 통한 새 삶과 희망의 메시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될 것이다.





    우리에게 남아있는 임무 (The Unfinished Task)



    우리는 물질적으로, 사회적으로, 감정적으로, 그리고 가장 중요한 영적으로 궁핍한 세계에서 살고 있다. 우리가 이러한 점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여섯 개의 스크린에서 동시에 상영하는 비디오 자료들을 통해, 여러분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가 얼마나 궁핍한가를 알게되고, 땅끝까지 그분의 증인이 되라는 그리스도의 부르심에 변화를 받게될 것이다.





    진리를 통한 발걸음 (Walk Through the Gospel)



    환경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사랑의 메시지는 지리적인, 문화적인 장벽을 뛰어넘어 전달된다. 여러분은 빌리 그레함이 전하는 시대를 초월한 메시지를 듣기위해 마지막 상영관에 초대된다. 그런다음, 여러분은 예수의 죽으심, 장사지냄, 그리고 부활의 생생한 장면을 보게될 것이다. 단순하지만 그러나 심오한 진리들이 단계적으로 여러분 앞에 펼쳐진다.



    박물관 채플룸은 미국과 전세계에 아직 남아있는 임무의 빛 아래서 조용히 반성하고, 기도하며, 그리고 개인적으로 헌신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여러분의 방문은 그것이 시작됐던 장소인 리셉션 지역(한시적으로 전시하는 박물관 시리즈 중에 하나를 볼 수 있는 곳)에서 끝난다. 여기에서 여러분은 영적진리를 신선한 표현으로 묘사한 현대 예술가들의 작품이나, 혹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것들을 전시해 놓은 것들을 보게 될 것이다.



    빌리 그레함 센터 박물관은 미국에서 일어났던 복음주의의 성장에 대한 생생한 역사를

    보여준다. 그리고 초대교부들로부터 시작해서, 미국 복음전도자들을 통해, 진리에 대한

    능력있는 사역들을 보여 주며 박물관에서는 이 땅위에서 행하신 하나님의 구속사역을

    전체적으로 보여준다.









    Moody Bible Institute



    초기시절



    1837년 2월 5일. 메세추세트 주 놀스필드시.

    드와이트 라이맨 무디는 아버지인 에두윈 무디와 어머니인 베씨 홀튼 무디 여사 사이에서 여섯 번째의 자녀로 태어났다.

    드와이트의 공식적인 학력은 국민학교 5학년이다. 어려서부터 자라온 농촌에서의 생활에 회의와 짜증을 느끼자 17살이 되던해 보스톤에서 직장을 구해 성공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마침내 집을 떠나고 말았다. 원하는 직업을 찾지 못하자 삼촌을 찾아가 일자리를 구했다.' 삼촌인 사무엘 훌튼은 마지못해 운영하고 있던 신발가게에서 일을 하도록 했다. 그리고는 무디를 조건부로 고용했든데 그 조건은 드와이트가 마운트 벌논 회중 교회에 참석하는 것이었다.



    드와이트는 마운트 벌논 교회에서 에드워드 킴벌 교사가 가르치는 주일학교 성경공부반에서 공부하게 되었다. 1855년 4월 21일 킴벌 교사는 드와이트가 일하고 있는 신발 가게에 찾아가 그리스도의 사랑에 대하여 말씀을 나누었고 무디는 그 사랑을 받아드리며 그리스도를 영접했다.



    그 다음해에 무디는 신발 장사를 통해 성공을 꿈꾸며 시카고로 옮겨 갔다. 신발 판매가 호전을 이룸과 동시에 시카고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주일학교를 개설해야 한다는 불타는 마음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술집을 개조해서 시작한 주일학교가 시간이 지나자 모여드는 수많은 어린이들로 인해 비좁아 지기 시작했다.

    점차 학교가 터지기 시작하자 동료 한 사람이 무디에게 개척교회를 시작하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권유를 해왔다.

    1864년 2월, 무디를 목사로 한 일리노이스 스트리트 교회(현 무디교회)가 자체 건물을 갖고 첫 예배를 드리게 된다. 신발 사업을 그만두고 복음을 위한 전도자로서 더욱 뜨거운 열정과 헌신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 후 몇 년뒤 섬기던 목회 사역을 사임하고 미국 전지여과 영국을 다니며 영적 대 각성집회를 인도하는 부흥사로 더욱 혼열을 쏟는 사역을 세상을 떠나는 해인 1899년까지 계속하게 된다.



    부흥집회를 인도하면서도 교육에 대한 관심은 변하지 않고 있었다. 1870년 여름, 무디는 일리노이스 놀만 주립대학의 총장이며 교수인 에마 드라이얼을 만나게 된다.

    그 다음해, 시카고 대화재 발생으로 인해 수 많은 사람들이 재산을 잃고 무숙자가 되어 도움을 요청할 때 에마 드라이얼은 그들의 필요를 채울 수 있는 성경공부와 교육, 심방 사역을 시작한다.

    무디는 드라이얼을 설득해 계속 시카고에 남아 교회의 후원으로 교육을 하도록 한다.



    그후 무디는 계속 부흥집회를 인도하게 되고 드라이얼씨는 시카고에 여성들을 교육하는 데 전심전력을 다하게 된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드라이얼 여사는 젊은 청소년들에게 계속해서 공부를 하여 훈련을 받도록 권유하며 격려를 했다.

    1833년 초기에 드라이얼 여사와 매주 모여 기도 모임을 가졌던 시카고의 주미들은 무디 선생이 다시 시카고로 돌아와 새로운 학교 설립에 동참하기를 기도했다. 시카고 지역의 도시 전도 집회를 위해 모였던 1886년 2월 22일의 회의에서 학교 설립에 관한 한건이 토의되었다.

    드라이얼 여사의 지속적이며 설득력 있는 메시지가 암도하였다. 청중들을 향해 무디는 "제 마음속에 있는 것, 즉 제가 원하는 바를 나누고자 합니다. 저는 갭(Gap)을 이어줄 수 있는 일꾼들이 필요하다고 믿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평신도와 사역자를 이어 주는 훈련된 자들로서 도시 선교 사역을 할 수 있는 일꾼들 말입니다. 은사를 지난 자들이 복음 전파에 필요한 훈련을 받아야 할 곳이 필요한 때 입니다." 그렇게 해서 시카고 복음 협회(Chicage Evangelization Society)가 (무디 바이블 인스티튜트 (Moody Bible Institute)로 변경됨) 탄생하게 되었다.





    학교의 발전



    한동안 협회의 주사역은 가정 심방과 도심 선교 지역에서 열리는 예배를 인도하는 것이었다.

    매년 5월 협회에서는 "5월 훈련(May Institute)이라는 일주일 훈련 프로그램을 주관하고 있었다.



    시카고 에비뉴 교회(시카고 대화재 이후 일리노이스 스트리트 교회명이 바뀜)의 예배 시간을 기다리고 있는 어느 날, 무디는 교회 건물의 서북 방향의 안내 위원이었던 쟌 모리슨씨를 만나 이야기 하던 중 건너 편의 빈 땅을 하나님께서 학교를 위해 주시도록 함께 기도했다.



    1889년에 있었던 May Institute는 무디의 가르침으로 인해 큰 성황을 이루었다. 이사회는 May Institute 가 점차 성황리에 많은 일꾼들을 키워내는 것을 보고 다음 사업 계획에 착수한다.

    이사회는 무디와 모리슨이 기도했던 그 빈 땅과 더불어 인근의 다른 빈 땅과 집 3채를 사들여공사에 착수하여 153 Institute Place라고 불리는 학교의 사무실을 건축하게 된다.



    1971년에 있었던 시카고 대화재 이후로 무디는 거의 거주지를 고향인 Narthfield로 옮겼다. 새로 새워진 학교에 시카고에 사는 전임 담당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한 무디는 전도자인 R.A. Torrey를 학장으로 청빙한다. 토레이 박사가 취임한 1889년 9월 26일 부터 학교는 연중 강의가 시작하게 된다.



    1899년 12월 22일, D.L. Moody는 주님의 품으로 갔으며 그의 고향인 Northfield에서 장사되었다. 무디의 장례식 이후에 열린 이사회는 무디를 기념하기 위해 Chicage Evangelization Societ를 Moody Bible Institute로 개명하기로 결정했다.





    탁월한 지도력



    토레이 박사는 학장으로 학교의 학사 내용을 더욱 충실히 하고 우수한 교수들을 채용하여 사역에 필요한 실제적인 프로그램들을 짜는데에 크게 이바지 하였다. 토레이 박사의 행정 아래 통신반과 저녁반도 개설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문서 선교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Moody Magazine이라는 월간 잡지를 출판하였다.



    1904년 무디와 친분 관계를 갖고 학교의 시간 강사로 강의해 오던 제임스 그레이(James Gray)박사가 학장으로 취임하게 된다. 그레이 박사는 세계 1차 대전과 미국의 암흑기였던 대불황기 시절을 탁월한 지도력과 하나님의 은혜로 무사히 학교를 운영하게 된다.

    그의 재임시 그레이 박사는 고등학교 졸업자에 한해 입학 허가를 하므로 신입생 입학 허가 수준이 높아져 더욱 학교가 발전하게 된다. 또한 1926년 7월 28일 학교 자체적으로 라디오 방송을 하기에 이른다.

    그레이 박사의 뒤를 이어 윌 휴톤(Will Houghton)박사가 학장으로 취임하여 학교가 번창하게 되는데 12층 건물인 Crowell Hall과 Torrey-Gray Audiorium도 이때에 지어진 건물이다.

    성경의 진리를 논증하는 Moody Bible Institute of Society가 새로 개설되었으며 무디가 창설한 Bible Institute Colporrage Association (성경연구 서적 협회)가 학교와 연합하여 Moody Press(무디 출판사)로 출발하게 되었다.



    1947년 휴톤 박사가 타계함으로 이사회는 학감이었던 윌리암 커벌슨 (william Cubertson)박사를 학장으로 추대한다. 커벌슨 박사의 지도력 아래 학교의 정규 과목과 신설 과목 및 학위 수여 등이 강화되며 건물 신축이 계속 된다. 선교사 양성을 위한 항공 운항과 라디어 제직 프로그램들이 신설 교양과목으로 채택되기에 이른다.



    1971년 M.B.I. 출신의 죠지 스위팅 (George Sweeting)박사가 바톤을 이어받아 학장으로 취임하여 학교의 발전을 위하여 이바지 하게 된다. 스위팅 박사는 M.B.I.가 급변하는 사회의 영적인 갈급함과 공허를 채울 수 있은데 목적을 두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도입하게 된다.

    스위팅 박사의 지시 아래 21개의 다른 지역에서 저녁반을 개설하여 많은 학생들이 교육 및 훈련을 받도록 배려하였으며, 처음으로 M.B.I. Pastor's Conference (목회자 수련회)를 개최하고 라디오 방송을 통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졸업생들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을 제공하는 등 혁신적인 방안으로 학교를 운영해 나갔다.



    17년 동안 학장으로 학교를 위해 섬긴 스위팅 박사가 학교를 발전을 위해 사임하자 이사회는 목회자로 오랫동안 섬겨온 죠셉 스토웰 3세 박사를 7대 학장으로 임명한다.





    방 송



    드와이트 무디와 에마 드라이엘 여사가 시카고에 학교 개성에 대하여 비젼을 나누던 그해, 하인뤼치 헐츠 (Heinrich Herts)는 새로운 이론을 출판했는데 그것은 전신을 통하여 메시지를 송신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수 많은 실험을 통한 결과로 미국에는 라디오 방송이라는 새로운 송신 수단이 1920년 초반기에 탄생하게 되었고 M/B.I. 는 1925년 첫방송을 전파에 실었다.



    학교 소유 라디오 방송국을 갖기 이전인 1925년 첫 시험 방송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되었다. M.B.I.의 두 학생이 시카고에서 있었던 일리노이스 생산물 전시회에서 연주를 하게 되었다. WGES라디오 방송국에서 전시회를 생방송으로 일리노이스 지역에 방송을 했는데 폭풍으로 인하여 준비해 놓은 배경음악을 방송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WGES 프로듀서가 M.B.I.학생들에게 복음성가를 생음악으로 연주해 달라는 부탁이 계기가 되어 매주 한시간씩 Moody Hour이라는 방송을 하기 시작했다. 1926년 7월 28일 WMBI라는 학교 소유 방송 스테이션으로 M.B.I.는 첫 자체 방송을 하기에 이르렀다.



    시카고 지역에 처음 방송을 시작한 무디 방송은 무디 방송 네트워크라는 이름으로 전세계적으로 전파를 내보내는 방송국으로 성장했다. 1982년 무디 방송 네트워크는 인공 위성 방송을 통하여 북아메리카 전 지역에 동일한 프로그램을 방송할 수 있게 되었다.





    무디 출판사



    1894년 위스콘신 주의 메디슨 시에서 드와이트 무디는 연속적인 부흥집회를 열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영접했는데 그들의 영적 성장을 위해 남겨줄만한 영적 도서나 출판물이 없다는 사실에 무디는 안타까워 했다.

    오랜 기도와 조사 끝에 무디는 Bible Institute Colportage Accociation (성서 연구 서적 협회)를 창설하게 되는데 창설 목적은 기독교인들에게 좋은 양서를 출판하여 공급하는데 있었다.

    출발 업계에 몸 담고 있었던 동서인 플레밍 리벨(Felmmong Revell)의 도움으로 이 일을 시작하게 된다.



    초창기에 출판되었던 책들은 방문 판매를 통해야 판매 되었다. 독자들에게 출판되는 신간 서적들을 구입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던 중 "A Book-of-the-Month"(이 달의 책) 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독자들이 신간 서적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설하였다. 또한 초창기 때에는 많은 서적들이 교도소, 병원, 구제 선교회등으로 배부 되었다. 이렇게 배부했던 문서 사역은 120개가 넘는 여러 국가에 영질의 기독교 서적을 배부할 수 있도록 성장하였다.



    The Bible Institute Colportage Association은 Moody Institute과 연합하여 두가지 사역을 담당하고 있다. Moody Press라는 출판사로 양서를 공급하고 있고, Moody Literature Ministry라는 문서 사역을 담당하고 있다.





    Moody Magazine



    학생 및 학교 관계자들과 졸업생들을 위한 정기 간행물 The Institute Tie라는 잡지를 1891년에 발간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국에 걸친 경제 불황으로 인하여 잡지는 그 다음해에 중단 되었다가 1900년부터 다시 발간하게 되었다.

    처음엔 M.B.I. 가족들을 위해 격주로 발행되던 뉴스레터 형식의 잡지가 1930년 후반기에 이르러 Moody Monthly란 새로운 형식으로 발간되었다.

    다시 한 번의 잡지의 이름과 내용, 형식 등을 변형시켜 1991년 부터 Moody Magazine이라는 이름으로 월간지를 발간하고 있다.



    Moody Institute of Science



    M.B.I.는 얼윈 문 (Irwin Moon)목사의 비젼으로 시작되었다. 목회자였던 얼윈은 젊은 청년들에게 성경의 진리들을 실질적으로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궁리해 왔다.

    얼윈 목사는 과학 실험을 사용하여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인 기적들을 교인들에게 하나하나 설명해 나갔다.



    1945년 그가 품고 있었던 꿈이 Moody Institute of Science를 창설하면서 현실로 이루어졌다.

    얼윈 문 박사의 목표는 하나님의 능력과 계획들을 과학을 통하여 증명하고 증명된 증거들을 영상(Film)으로 담아 전세계로 보급하는 데 있었다.



    M.B.I.는 지속적으로 뛰어나고 전문성 있는 필름 제작에 힘쓰고 있다. 그러한 결과 그 우수성과 전문성을 인정받아 과학분야, 교육분야, 영상 효과 등의 분야에서 여러차례 상을 받기도 했다.



    Moody-Keswick Beble Conference



    1880년 드와이트 무디는 Keswick Conference(영적 대 각성 및 부흥집회)를 미국에서 시작했다.

    제일 처음 있었던 집회는 Northfield Conterence로 무디의 고향인 메세츄세추 놀스필드에서 있었다. 세월이 흐름과 동시에 수많은 사람들이 이 집회를 통하여 회심하고 헌신하는 역사가 일어났지만 M.B.I.와 이 집회를 연결해 주는 단체는 없었다. M.B.I. 역시 65년 이상 Moody Founder's Week Conference로 알려진 부흥집회를 매년 주관하고 있었다.

    1977년 플로리다 세인트 피털스버그에 위치한 Southem Keswick Inc.회사가 건물을 M.B.I. 에 기증함으로 M.B.I. 와 연결이 되어 매년 Moody-Keswick Bible Conference를 주최하고 있다.

    그 밖에도 매년 다양한 학회 및 집회, 세미나 등을 개최하여 하나님의 일꾼들을 양성하는 데 주력을 다하고 있다.

    무디교회 (MOODY CHURCH)



    무디교회의 각 사역내용과 프로그램들



    당신이 만약 시카고에 거주하고 있다면, 아마도 LaSalle Boulevard와 Clark 거리 사이에 위치한 큰 벽돌건물인 무디교회를 들어 보았을 것이다. 이 건물은 1925년도에 지어진 건물이며, 대부분의 시카고 거주자들은 때때로 이 교회를 자동차로 혹은 걸어서 지나친다. 이 지면을 통해서 무디교회와 가르침에 대해 우리가 일반적으로 흔히 접하는 질문들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겠다.

    "무디(Moody)라는 이름은 어디서 따온 것인가?

    그리고 무디교회는 우리가 알고 있는 무디성경학교의 한 파트에 속하는가?



    교회의 이름은 19세기 후반에 시카고에서 살았던 유명한 복음주의자의 이름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미국과 영국에 있는 많은 청중들에게 설교했던 그 당시의 빌리 그레함이었다.

    무디 (D. L. Moody)는 그의 주일학교에 어린이들을 초청한 것으로 유명하다. 무디가 죽은 후에 그를 예우하는 뜻으로 무디라는 이름을 교회의 이름으로 정하게 되었다. 무디교회와 무디성경학교 둘 다 복음전도자 무디에 의해서 설립되었다. 비록 우리는 자매학교이긴 하지만, 유기적으로 관련되어있진 않다. 우리의 친밀한 우정의 목적은 두 학교 서로의 발전에 있다.

    무디 교회는 비록 약 20%의 교회회원들이 카톨릭 교회에서 자랐지만, 개신교측의 입장을 따르고 있다. 그 나머지 회원들은 여러 개신교 그룹들, 유대교 배경을 가진 몇몇 회원들 , 혹은 종교적인 배경이 없는 사람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디교회는 또한 어떤 특정교단에 가입하지 않는 독립된 교회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러 개혁측 사람들, 즉 성경을 그들의 영적인 권위로 믿는 사람들과 함께 기독교의 일반적인 전통들을 나눈다. 이러한 확신 즉, 성경이 하나님으로부터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확신은 우리를 과거나 현재나 다른 많은 교회들과 하나가되게 만들어 준다.



    무디교회가 그 지역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혹은 다른 말로, 그 지역 사람들에게 어떠한 도움을 주고 있는가?



    무엇보다 먼저 그 지역 사람들에게 하나님과의 관계가 자랄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헌신하고 있다.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데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예수 그리스도가 그들을 위해 할 수 있는 것들을 그들에게 설명해 주는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 다음으로 우리는 여러 이유들을 가지고 헌신하는 사람들(즉, 가난한 자를 도와주는 사람들, 교도소에서 일하거나 혹은 에이즈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헌신하는 사람들) 과 우리의 도움을 함께 함으로써 그 지역사회에서 활발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다. 적에도 10개 정도의 그런일에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으 이름으로 일하는 자원 봉사자들을 보낸다. 또한 매달 한 번씩 Moody Business Network과 Women in the Working World에 점심식사로 후원하고 있다.

    1970년 이후 계속해서 3세부터 5세이하의 자녀들을 가진 가정을 위한 Childern's Leming Center를 운영해 오고 있다. 매주일 아침에 모이는 모임에서는 성인성경공부모임 뿐만 아니라 도시와 주변 외곡지역에서도 소그룹 성경공부 모임을 갖고 있다. 내주 게시판에는 그리스도를 섬기기 위한 많은 기회들 (즉, 가르치는 것, 리더쉽 기술을 개발하는 것, 음악을 만드는 것, 혹은 다른 모든 중요한 분야인 것이든지간에)로 가득차있다.

    주일아침 예배에 참석한다면,

    어떠한 것을 그 예배를 통해서 얻을 수 있은 것은?



    찬양 예배는 약 1시간 15분 정도로 진행하고 있다. 예배의 구성은 우리의 삶 속에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복음적인 메시지 뿐만이아니라, 찬양과 성경봉독 그리고 성가대의 합창으로 이루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이 세상에서 그리스도를 전하는 일과 또 실제적인 그분과의 영원한 삶

    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다.





    The Moody Church Covenant (무디교회 서약)



    우리 무디교회 회원은 하나님 말씀인 모임에 다같이 참여한다. 우리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진리 안에서 서로 사랑할 것이며, 서로 기도하고 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을 하나님의 도우심 가운데 다함께 사역한다.



    우리는 모든 사악한 것들 분노, 성냄, 그리고 사악한 말들을 우리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우리는 서로에게 친절하여, 온유한 마음을 가지고 하나님이 우리를 용서하시기 위해 그리스도를 죽이심 처럼, 서로를 용서한다.



    우리는 경배와 예배를 위해 모이는 우리자신들의 모임을 폐하지 않으며 하나님의 말씀을 존중히 여기며 그리고 우리에 대하여 영적인 규율을 가진 자들을 따르기 위해 노력한다. 우리는 하나님이 주신 모든 사람에 대해 선한 청지기 직분을 감당한다.



    우리는 말과 행동에 의해 하나님의 말씀인 복음을 나눔으로써 그리스도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도록 노력한다. 기회가 주어지면 우리는 모든 사람들에게 선행을 하며, 특별히 믿음의 가정에 더욱 그렇게 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명령인 복음을 전세계에 충만하게 전파되도록 노력한다.



    Corporate Worship(전체예배)



    - 주일찬양예배 - 주일찬양예배는 오전 10:30과 오후 6:00시에 각각 시작한다. 두 예배 모두 스페샬 음악, 회중찬양, 기도, 그리고 가르침으로 진행된다.

    - 성인 성경공부모임 - 이 모임은 성경공부와 여러 가지 관계-발전적인 활동 들을 통해 남녀간의 관계를 강화한다. 또한 거기에는 결혼한 부부들, 미혼자들, 노인들 그리고 전체 가족들을 포함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모임이 있다.

    - 수요저녁모임 - 전체기도후 계속해서 이어지는 성인들을 위해 마련되는 성경공부 시간이다.

    - 수요저녁친교 - 수요저녁모임 이전에 진행된다. 모두가 저렴한 가격에 맛있는 저녁식사를 즐길 수 있다.

    - Connections - 이 소규모그룹 사역은 성경공부, 제자훈련, 그리고 기도를 위해 모인 다양한 그룹들을 협력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그룹들은 여러형태로 이루어지며, 참석자들의 특별 필요사항들을 발표하도록 계획되어 있다.

    - 3인조 기도(Triple Cords)- 3명이 한 그룹이 되어서 정기적으로 만나서 기도하는 모임이다.

    - Vine and Branches (포도나무와 가지들) - 사람들의 삶속에서 소그룹이 끼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서로 나누는 연 4회 발간되는 회보지.

    - 장로들의 기도모임 - 교회의 장로들에 의해 인도되는 이 모임은 매주 주일예배 전에 시작한다.

    - 금식기도의 날 - 이 프로그램은 일년에 두차례 실시하고 교회의 가난한 자들과 특별한 관심을 요구하는 자들을 위해 다같이 모여 금식하며 기도하는 시간이다.

    - 아침기도 - 토요일 아침에 약 25분동안 진행되며 주로 기도와 말씀을 나누는 시간으로 이루어진다.

    Youth Ministries (청소년 사역들)



    중학생 Culb Time and 고등학생 Culb Time - 복음주의와 영적인 성장을 강조하는 재미있고, 활동적으로 짜여진 프로그램. Junior High Culb Time은 수요일 밤에 있고, Senior High Culb Time은 주일밤에 있다.



    중등부와 고등부 주일학교-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주로 찬양, 말씀공부, 그리고 여러 놀이 등이 주일 아침에 이루어진다.





    캠프 Ministry



    - 캠프 Moyoca - 안디록 일리노이주 근처 Loon 호수에 위치한 캠프 Moyoca는 우리교회 가족 회원들과 다른 사람들에게 영적 성장과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좋은 기회를 제 공해준다. 캠프는 여름기간 동안 어린이들과 중.고등부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 교회 피크닉 - 교회 전체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음식, 즐거움 그리고 친교가 있는 시간이다. 캠프 Moyoca에서 매년 여름마다 개최한다. 추수의 날- 하나님의 선하심과 섭리 가운데 교회 -확장 일을 정하여 축하하는 날이다.



    Childern's Ministries (어린이를 위한 사역)



    - 어린이 주일학교 - 찬양과 하나님의 말씀과 재미있는 활동 등을 통해 신앙심을 키우는 주일 학교.

    - Caraway Street - 이것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세서미 스트릿"과 같은 행태의 프로그램으 으로써 주일 아침에 1학년부터 4학년까지를 대상으로 가면극, 또는 음악을 가지고 하나님의 사랑을 가르치는 시간이다.



    - ChurchTime - 2학년에서 5학년까지를 대상으로 디자인된 이 프로그램은 주일아침 예배시 간에 이루어진다. 이 프로그램은 성경과목과 찬양, 구연동화, 비디오상영 등 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Nursery (탁아소) - 주일아침에 간난 아이들을 잘 돌봐준다.

    - Pionner Clubs - 학교 기간동안에 6살부터 12살의 어린아이들을 대상으로 매주 수요일 밤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러 게임과 성경암송, 찬양, 그리고 각종 훈련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Childern's Christmas Pageant - 음악과 드라마로 예수의 탄생을 축하한다.

    - Childern's Learning - 이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에게 경험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또 영적인 가치들을 발전시키기 위한 안전하고 교육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Outreach Ministries (전도사역들)



    무디교회는 크리스챤들에게 지역사회 활동과 다른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사랑을 전할 수 있는 많은 기회들을 제공하고 있다.



    - Branch Ministries - "이 사역은 무디교회 사람들에게 그들의 시간과 재능을 헌신할 수 있도 록 하며, 우리 도시의 특별히 필요한 세부사항들을 체계화해서 준비하 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Evangelism Explosion (복음전도 폭발)- 참석자들에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의 신앙을 나누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깊이있는 훈련과 전도에 필요한 훈련 등 을 제공한다.

    - Light of lsreal Fellowship - 한달에 두 번정도 정기적으로 모여서 이스라엘의 메시야로써의 예수를 찬양하는 시간이다.

    - Passover Seder 기독교인들의 신앙에 유대교의 뿌리를 나타내기 위한 전통적인 유대교 식 사를 하게된다.

    - Moody Business Network - 한달에 한 번 점심식사를 베풀면서 하나님의 말씀인 복음을 시 카고 상업지구에 심는 일을 한다. 주중에 한 번 성경 공부시간 을 갖고 1년에 한 번 저녁식사연회를 갖는다.

    - Moody Business Nwtwork Sunday Seminer - 일반상업지구와 교회사이에 벌어진 틈을 이 주는데 도움을 주는 성인성경공부모임이 주 일 아침에 있다.

    - Moody In the Park - 하나님의 말씀인 복음을 나누는 목적에서 지역사회 주민들과 무디교 회 사람들이 함께 모여 매년 여름마다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축제행사 이다. 드라마, 음악 그리고 다른 특별순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 INTRD - Sinlge Focus에서 후원하는 이 프로그램은 3개월에 한 번씩 갖게 되는데 주로 지 역주민 사람들에게 무디교회의 신앙과 사역들을 소개하는 시간이다.

    - Prison Ministry - 주로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는 사람들에게 편지나 대회로 하나님의 말씀인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들을 제공한다.

    - Vacation Bible School - 어린이들을 위한 재미있고 유익한 캠프 프로그램으로 매년 여름 일 주일 동안 교회에서 있게 된다.

    - 수요저녁예배 at Pacific Garden Mission - 무디교회에 있는 각 개인들이 시카고 도시에 있 는 무숙자 주거지인 퍼시픽 가든 미션에서 한달 에 한 번 인도하는 예배이다.



    Music Minstry



    - Sanctuary Choir - 주일 찬양예배 시간에 새로운 스페샬 음악과 콘서트를 갖는다. 때때로 오케 스트라 반주와 독창 발표회도 갖는다.

    - Orchestra Ensemble - 어떤 특정 주일예배 시간에 자원해서 오케스트라 반주를 제공해 주는 음악가들이다.

    - Handbell Choir - 1년에 몇차례 교회 예배 때 노래한다. 주로 1학년부터 6학년 까지를 대상으 로 하고 있다.

    - Worship Band - 어느 특별한 주일 밤 예배나 그 밖에 다른 특별한 행사시에 공연한다. 이 시 간에는 좀더 다양한 현대적인 스타일의 찬양을 드리게 된다.



    Radio Minstry

    무디교회에서 만들어지는 라디오 프로그램들은 미 전역에 그 이상 지역에 400개 이상의 라디오 스테이션을 통해 전파를 탄다.



    라디오 프로그램들 - 매일 우리의 삶 속에 영감을 주는 15분 메시지 프로그램인 'Running to Win'과 주중에 한 번 나가는 프로그램인 'The Moody Church Hour'와 'Songs in the Night'이 있다.



    Wolley Hall Book Store - 주일 아침 예배 후에 무디교회 선임 목사의 책들과 설교 테잎들을 판매한다.



    세계선교 (World Missions)



    무디교회는 80개 이상의 선교지역을 자원하고 있고, 하나님의 말씀인 복음을 땅끝까지 증거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여러 방면으로 도움을 전하고 있다.



    World Missions Conferencd - 1년에 한 번 봄에 개최되는 이 행사는 사람들에게 세계선교와 선교사들의 활동 등을 배우는 기회를 준다.



    Fall Missions Celebration - 이 행사는 매년 가을에 있으며, 우리는 세계선교의 목적을 더욱 강조하도록 계획되어 있다.



    Missionary Prayer Fellowship - 한달에 한 번 우리 선교사들의 특별히 필요한 사항들에 대하여 정보를 나누고 기도하기 위한 모임이다.



    Short - Trem Mission Trips(단기선교여행) - 이 프로그램은 다른 문화권이나 다른 나라 사람들을 상대로 목회사역을 하기 원하는 자들을 위해 단기선교의 기회를 제공한다.



    World Missions Committee -선교사들과 계속적으로 접촉하고 그들의 활동과 필요사항들을 정기적으로 교회와 통신하는 활동이다.



    Women's Minstries



    Woman to Woman - 노인과 젊은 여자들이 1대1의 관계로 서로 만나서 서로간의 유대관계를 돈독히하는 프로그램이다.



    Deaconesses - 교회 안에서 행하고 있는 여러 사역들을 운영하고 격려하며, 또한 직접 후원도 하는 모임이다.



    Discipleship Minstry - 수잔 헌트가 지은 'Spiritual Mothening'에 기초해서 진행되는 소그룹 모임이다.



    Nursery Committee - 이 그룹의 여성들은 주일아침에 있는 탁아소를 잘 운영하고 예배와 사회활동을 통해 엄마들과 그들의 아기들에게 복음을 전한다.



    Mom's Night Out - 아이들이 없는 학기 동안에 엄마들을 초대해서 다 함께 모여서 사회활동에 참여케하는 것.



    Women in the Working World - 한달에 한 번 교회에서 제공하는 점심식사를 포함해서 여러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직장여성들을 후원하고 격려하는 시간.



    ABF Sisters in Christ - 모든 삶 속에서 여성들이 안고 있는 필요사항과 문제점들을 주일아침에 집중적으로 토론하는 성인성경공부 모임.



    Stepping Stones - 불임을 안고 있는 여성들을 지원하기 위한 그룹.



    Family Focus - 이 모임은 자녀를 둔 결혼한 부부들을 위해 계획된 모임이다.



    Family Thgether - 어른들과 아이들이 함께 성경을 배우는 가족 전체를 위한 주일학교.



    Father-Son-Banquet -매년 한 번 실시되는 이 행사는 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즐거운 저녁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꾸며진다.



    Mother-Daughter Tea - 일년에 한 번 어머니와 딸이 함께 보내게 되는 시간이다.



    New England Dinner - 교회 주일학교 선생님들과 직원들에게 감사를 표시하는 저녁시간이다. 이 행사는 100년 이상 기간동안 계속돼오고 있다.



    Single Adults Ministries



    ABF College Class - 시카고의 많은 대학교 학생들을 위한 성경공부 모임, 주일 아침에 모임을 갖는다.



    ABF Single Focus - 이 모임을 통해서 미혼자들에게 여러 도움과 도전과 기회(사회활동, 전도 프로그램)를 준다.



    Single Focus Retreats - 일년에 두차례 실시하며, 이 프로그램은 성경공부, 레크리에이션 그리고 친교 등으로 꾸며진다.



    Divorce Recovery Workshop - 이혼의 경험을 가진 남녀를 위해 여러 도움과 안내를 제공한다.



    Encouragement Ministries



    Barnabas Encouragers - 이 프로그램은 교회 몸 안에 있는 다른이들에 격려와 기도를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Prayer Parthers - 교회 가족으로부터 특별히 훈련을 받은 이들은 주일 아침 예배후에 여러 가지 도움을 청하는 이들에게 가서 격려와 기도로써 봉사하는 사람들이다.



    Visitation - 병원에 입원해 있는 사람이나 혹은 가정에 홀로 있는 사람들을 방문하는 사역이다.





    Crenshaw Christian Center



    1. 담임목사- 프래드릭 프라이스(Frederick K.C. Price)



    프래드릭 프라이스 목사(1932년 1월 3일생, 자녀:1남3녀, 취미:스쿠바 다이빙)는 캘리포니아주 산타모니카에서 출생 부모님을 따라 여호와의 증인에 다니다가 1953년 21세때 거듭났다.

    그는 중생을 체험한 후 2년 뒤부터 교회 사역을 사작했는데, 약 17년동안 4교단으로 옮겨다녔다.-- 침례교단, 흑인감리정교, 장로교단, 그리고 기독교 선교 연합회. 그는 그 당시의 생활에 대하여 매우 불만족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프라이스 목사는 대단히 카리스마를 지닌 설교자로 평정이 나있다. 그는 설교자로서 신자들과 대담식의 설교를 하며 거의 매주 성경본문을 함께 읽자고 한다.

    설교 중심의 내용은 "믿음"이며 그 내용을 말한다면 "하나님은 하나님의 자녀들에게 영적 축을 주시고자 할 뿐더러 육적인것과 물질적인 것의 축복도 함께 주시려고 한다"이다.

    그 축복을 받는 비결은 하나님을 의지하는 개개인의 믿음이라고 가르친다. 그는 세계 최고급 자동차인 롤스 로이스(Rolls Royce)가 자기의 자가용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이것은 하나님의 축복이라고 말하고 있다.



    프라이스목사는 여러권의 저서가 있는데 그중 "신유는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인가?"(Is Healing For All?)", "어떻게 좋은 믿음을 갖는가(1977년, How to Obtain Strong Faith)", "성령-빠져버린 요소:나의 개인 간증 (1988, The Holy Spirit, The Missing Ingredent; My Personal Testimony)" 그리고 "믿음, 어리석은 아니면 추정?" (Faith, Foolishness or Presumption)" 등 그 외 다수가 있다.



    2. 교회-Crenshaw Christian Church



    1973년 프라이드 목사는 크렌샤 크리스챤 센터를 창립한다. c.c.c.(Crenshaw Christian center)는 현재 독립교회로서 아무런 교단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

    다민종 교회-흑인이 다수-로서 신도수 약 15,000명에 육박한다. 교회의 대형 본당은 "믿음 구장"(Faith Dome)이라 불리우며 1984년에 완공되었고 약 10,000 여명을 수용할 수 있다. '

    밖에서 보면 운동 경기장이라 착각하기가 일수이다. 1978년도부터 "끝없는 성장하는 믿음"(Ever Increasing Faith)이란 제목으로 TV방송 설교를 미전역에 시작하고 있다. 198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어 그의 "믿음"메세지를 전파하는 방송국만해도 미전역과 타국까지 합치면 100개가 훨씬 넘는다.



    3. 목회 철학



    본인의 "믿음" 메시지를 전달함에 있어서 탁월한 선교가이며 특히 말씀을 강해함에 있어서 긴 시간 동안에 조리있게 그리고 박진감 있게 설교하는 식의 예베와 설교 방법을 고수한다.

    모든 성도들을 위해 8주 코스를 정하여 매주 주중에 만나 성경의 기초를 항상 튼튼하게 세운다. 또한 1985년에 세운 C.C.C. 사역자 훈련원이 있고, 통신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C.C.C.는 약 17개의 구분된 부서들이 있고 약 250여명의 직원들이 일을 하고 있다. 그 중에는 학교도 포함되어 유치원, 국민학교, 중학교 그리고 고등학교가 포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교회의 모든 사역의 효율화를 위해 뛰는 평신도 봉사자들은 매주 약 1,500여명에 달한다. 사회의 악으로 대두되고 있는 알콜 중독이나 마약 중독을 타파하기 위한 사역적 노력을 하고 있으며 특히 흑인들의 사회 문제를 복음주의적 차원에서 해결하려는 사역을 하고 있다. 그중 "알콜, 마약 중독 프로그램"(Alcohol and Drug Abuse Program), "큰 형님 사역"(Big Brother's Ministry)또한 스페인계 사역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4. 연구점



    이 교회의 가장 큰 약점은 교회의 모든 것이 담임 목사의 역할에 대부분 의존되어 있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그의 가르침을 받은 성도들이 기복신앙의 착각 속에 빠져들지나 않을까하는 것이다. 물론 프라이드 목사는 이러한 비평을 수없이 받아왔다.

    그의 비평은 이와 같다. "만약 물질적 축복이 산 믿음의 증거라면, 곧 물질 축복을 못받은 사람은 그의 믿음에 결함이 있다는 말이 아닌가? 왜냐하면 하나님쪽에서는 결함이 없기 때문이기에."





    " 어휴 다 끝났다. "































    윌로우크릭 커뮤니티 교회 연구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국에 있는 교회들이 세계 여러 나라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한국 교회들이 영적 침체기를 맞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반면 미국의 교회들이 새롭게 움직이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에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미국교회 견학도 줄을 잇는데 이중 대표적인 교회가 서부에서는 남부 오렌지카운티에 위치한 새들백 교회라고 할 수 있고, 동부지역에서는 시카고에 위치한 윌로우크릭 교회라 할 수 있다.



    1. 특징



    빌 하이벌스 목사(Bell Hybels)가 담임하고 있는 윌로우크릭 교회를 한 마디로 정의한다면 구도자에게 초점을 두고 사역하는 교회(providing a service for seekers)라고 할 수 있다.

    윌로우크릭 교회는 하나님을 높이고(Exalation), 신자들을 교화하며(Edification), 복음을 전하고(Evangelism), 사회에 기여하는(Social Action) 4가지 목적을 위해 존재한다고 스스로 밝히고 있다.

    윌로우크릭 교회는 우선 널따란 잔디밭과 인공 호수, 그리고 교회의 분위기가 나지 않는 현대식 건물이 잘 조화를 이루어 교회라는 느낌보다는 대단위 연구소와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고, 학교 캠퍼스와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고, 큰 공원과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물론 교회의 주차장도 수천 대를 수용할 수 있으리만큼 넓다. 또 건물 안에 들어가면 사인판과 예배 및 각종 모임을 알리는 모니터 등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공항의 이착륙을 알리는 모니터와 흡사한 것이 마치 공항 터미널에 들어선 느낌을 받는다.

    로비에는 약 3백 여명이 모여 자연스럽게 교제할 수 있는 테이블과 의자가 있어 비신자라도 쉽게 그런 분위기에 적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배시간은 늘 공연장과 같고 설교의 서론이 늘 드라마로 시작하는 교회, 이들만의 특징 있는 찬양… 이런 것들을 열거하자면 이루 헤아릴 수 없다.

    이 교회를 특징 짓는 것은 앞에서 다룬 4가지 목적에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개발된 7가지 전략에 있다. 윌로우크릭 교회는 과정 지향적(Precessoriented)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해가고 있다.

    먼저 다리 놓기를 통해 관계를 형성한다. 이런 Relationship이 다져지면 입술로 증인이 되어 관심을 보이는 자들과 초신자들에게 맞게 프로그램된 예배를 제공한다. 이 관계에서 좀더 성장하게 되면 기존 신자들을 위한 주중예배에 참여하게 되며, 나아가 2천여 개의 소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다음 단계는 각자의 은사에 따라 봉사에 참여하고, 궁극적으로는 청지기 정신을 지닌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 존재케 하고 있다.

    윌로우크릭 교회의 7가지 전략을 간단히 살펴보자.



    1) 관계를 형성함 (Bridge Building)

    비신자들은 기독교로부터 고립될 충분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기독교 라디오 채널이나, 전도 스티커에 잘 감동되지 않는다. 자칫하면 그들에게 주어진 전도 문서들이 쓰레기통으로 던져지기 쉽다. 이들에게 나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비신자들과 성실한 관계의 개발을 통해서 가능하다.



    2) 입술로 증거함 (Sharing a Verbal Witness)

    일단 비신자들과 성실한 관계가 세워지면, 신자들은 그들이 간증을 나눌 기회를 갖는다. 이런 기회는 노력하는 사람에게 먼저 주어진다. 그러나 비신자들은 이런 간증에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내기는 어렵다.



    3) 초신자를 위한 예배(a service for seekers)를 제공함

    초신자를 위한 예배는 그리스도를 믿으려는 결심의 과정 속에 있는 사람들과 기독교가 무엇인지 알려는 사람들, 그리고 최근에 그리스도에게로 자신의 삶을 헌신한 사람들을 위한 것으로 주말에 갖게된다. 세상 생활방식에 젖은 비신자들이 편안한 환경 속에서 메시지를 들을 수 있게 하고 있다.



    4) 기존 신자들을 위한 주중예배에 출석 (Attending the New Community Service)

    한 번 예수님을 자신의 구주로 받아들이고 일정 기간 주말예배에 참석한 사람은 주 중 신자들을 위한 예배에 참석하도록 권유를 받는다. 이 예배는 신자들에게 공동의 예배에 참여하게 하고, 그들이 성숙할 수 있도록 의도된 성경 강해를 듣는 기회를 제공한다.



    5) 소그룹에 참여함 (Participating in a Small Group)

    주중 예배에 참여한 신자들은 다음 단계로 소그룹에 참여하도록 권유받는다. 소그룹 참여는 참여자에게 상호책임성, 제자도, 격려와 후원은 물론 교제를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소그룹은 2년 동안 매주 모이며, 8-10여명의 인원으로 구성된다. 이 기간 소그룹의 멤버들은 윌로우크릭의 소그룹 사역에 의해서 기획된 교과과정을 공부한다.



    6) 봉사에 참여함 (Involve in Service)

    윌로우크릭 커뮤니티 교회를 자신이 뿌리내릴 모교회로 여기는 신자들은 그들의 영적 은사를 발견하고, 그것을 개발하며 봉사의 어떤 형태로든 그 은사를 사용하기를 권유받는다. 신자들은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은사를 확인하고, 개발하고, 사용함이 없이는 그들의 영적인 잠재력을 경험하지 못할 것이다.

    7) 청지기 의식 (Stewardship)

    신자들은 돈을 관리하는 영역에서 교육받고 그들의 돈을 하나님을 영광스럽게 하는 방법으로 관리하는 개인의 책임을 인정해야 한다. 신자들에게 빚지는 것을 거부하고, 재물을 탐하는 것을 중지하며, 자신의 수단 내에서 살고, 자신의 소유물에 인색하지 않고, 필요한 사람에게 나눠주며, 주님의 일에 너그러이 주는 것을 가르친다.



    2. 담임목사



    윌로우크릭 커뮤니티 교회의 담임인 빌 하이벨 목사는 미시간주에서 기업을 성공적으로 경영하는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그는 모험심이 대단히 강했다.

    하이벨에게 영향을 많이 주었던 것은 아버지의 사랑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하이벨이 1학년일 때 픽업 트럭을 운전하게 했고, 5학년 때는 혼자서 30여 마일 떨어진 스키장엘 보내기도 했다. 15세가 되었을 때 그는 혼자서 아프리카와 유럽을 여행하기도 했다. 그의 아버지는 여행 같은 큰 일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아들을 그렇게 훈련시켰다.

    그는 개혁장로교회에 몸을 담고 있었지만 하나님의 사랑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의 선물은 깨닫지 못하고 있었다. 하이벨이 17세 되던 해, Awand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는데 그는 그곳에서 처음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는 구원의 감격을 누리게 되었다.

    그가 아버지의 사업을 이어받을 계획으로 대학교에 진학, 공부하던 중 회의를 느끼며 8주간의 남미 여행을 하게 되었다. 그 때 그는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로의 코파카바나 해변이 보이는 한 호텔 방안에서 무릎을 꿇고 자기의 삶이 하나님의 영원한 것에 헌신하겠다는 헌신의 기도를 하게 되었다.

    그 후 그는 Dave Holmbo라는 신앙의 친구를 만나게 되었고, 그와 함께 청소년과 젊은이들을 위한 'Son City'라는 전도모임을 시작하게 되었다. 1973년에 약 150명으로 시작된 모임은 2년 후인 1975년에는 약 1,200명까지 참석하는 규모로 커졌지만 그곳에서 한계를 느낀 하이벨은 그 당시 사도행전과 Robert Schuller목사의 책을 읽으며 마침내 현재 윌로우�



    독자 설교

    설교작성하기 (3년 후에는 자동삭제됩니다.)
    이 름 E-mail
    제 목



    프린트하기 기사메일보내기 독자설교


    이전으로
    목회자료
    변승우 집단의 교리와 예언 및 신유 사역의 문제점
    반문명주의적 생활공동체-아미쉬공동체
    동남아는 어떻게 이슬람화 되었는가?
    예배 의식과 예배에 담긴 의미들 / 축도는 담임목사가 하는 게 정상이다
    한국 교회와 성중독에 대한 고찰
    플라톤의 편에 나타난 동성애/ 동성애자의 양심고백’ 전문
    너의 정체는 무엇이냐? / 대기업 저축 돈 1000조원과 출 12:35-36
    ★ 이재철 목사의 자기 점검 수칙 33
    목회자의 언어 생활 / 찰스 스펄전
    찰스 스펄전/ 목회자의 기도생활: 개인기도생활이 안 되면, 목회자로 자원하지 마십시오
    1장, 목회자의 자기 관리1 / Charles Spurgeon
    2장, 목회자의 자기 관리2 / Charles Spurgeon
    3장, 목회자의 자기 관리3 / Charles Spurgeon
    유진 피터슨이 살아온 참된 교회 참된 영성
    동성애자들의 사전에서 ‘퀴어’ 뜻을 봤더니만/ 대중의 취향에 갈긴 예수의 '따귀'
     | Home | 사이트맵 | 설교검색 | 설교전체보기 | 설교쓰기 |개인정보취급방침 | ___ | 
    Copyright by 본 설교신문 자료를 다른사이트로 무단복사 절대금합니다(추적장치가동)/설교신문//이새롬/사업자번호220-09-65954/서울시강남구도곡로1길14삼일BD1121호/통판:서울강남01470/문자로 질문바람010-3761-0691/E-mail:v919@naver.com   Contact Webmaster